“국회, 초당적으로 협력해야” - “경제 난국에 희망의 메시지 없었다”

새누리당 이장우 대변인은 브리핑에서 “박 대통령의 시정연설은 ‘일해 달라’는 국회에 대한 대통령의 간절한 호소”라면서 “박 대통령이 ‘기본이 바로 선 대한민국‘을 강조하며 현재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역사교육의 정상화도 미래의 주역인 우리 아이들을 위해 꼭 필요한 일임을 역설했다”고 전했다.
이 대변인은 이어 “이번 시정연설은 박 대통령이 국가 경제와 청년일자리창출을 위해 얼마나 심혈을 기울이고 있는지를 그대로 보여주는 연설”이라면서 “이제 국회가 답할 차례”라고 주장했다.
이 대변인은 “불필요한 정쟁, 장외투쟁 등 국민의 눈살을 찌푸리게 하는 행태는 모두 접어야 한다”며 “국가와 국민을 위해서 대통령의 국정운영에 국회가 초당적으로 협력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새누리당은 대통령께서 원활한 국정운영을 펼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뒷받침 하겠다”며 “국민과 소통하고 야당과의 대화도 소홀히 하지 않겠다”고 약속했다.
야당을 향해선 “국회가 국민을 위한 본연의 임무를 다 할 수 있도록 남은 정기국회 일정에 적극적으로 협력해 줄 것을 당부한다”고 말했다.
반면, 새정치연합은 박 대통령의 시정연설에 대해 혹평했다. 김영록 수석대변인은 브리핑에서 “오늘 시정연설도 국회에 대한 설득이라기에는 그동안 했던 주장만 되풀이하여 답답한 하늘을 보는 느낌이었다”며 “어려운 경제 난국을 해쳐나갈 수 있는 확실한 비전 제시도 없었고, 대통령이 제시한 정책도 과연 청년실업 등 어려운 현안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는지 의문스럽다”고 꼬집었다.
김 수석대변인은 “대통령의 현실인식도 어려운 경제현실을 정확히 알고 있는 것인지 의구심이 든다”며 “대통령의 연설을 들으며 과연 이런 정책과 예산안으로 국민에게 희망을 줄 수 있을지 매우 의문스럽다”고 지적했다.
김 수석대변인은 또 “누리과정 예산 문제로 민간 어린이집들이 집단 휴원을 하며 워킹맘들의 한숨이 터져나오는데 대통령은 누리과정 예산에 한마디 언급도 없었다”며 “지난 청와대 회담에서 이종걸 원내대표가 ‘서비스산업발전기본법’과 ‘관광진흥법’, ‘국제의료사업지원법’과 ‘의료법’에 대해서 문제점을 충분히 설명했는데 대통령이 다시 이 해묵은 문제 법안들을 거듭 촉구한 것을 보면 야당의 주장을 조금도 이해하지 못한 것이 아닌지 답답하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또한 “특히 박근혜 대통령은 역사교과서 국정화를 ‘역사교육 정상화’라며 국정교과서의 당위성을 역설하며 오히려 국민 분열만 부추겼다”며 “교육문제를 정치문제로 비화시킨 것이야말로 비정상의 정상화라는 대통령의 말씀과는 달리 정상의 비정상화”라고 비판했다.
김 수석대변인은 “대통령의 말씀대로 올바른 역사교과서를 통해 분열된 국민을 통합하기 위해서는 국정화 계획을 지금이라도 중단하는 것이 마땅하다”며 “더 이상 국정교과서 추진으로 국론을 분열시키지 말고 민생에 전념할 것을 주문한다”고 요청했다.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