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 판교 창조경제밸리 올해 안에 착공

박근혜 대통령은 국회에서 진행된 내년도 예산안 시정연설에서 “창조경제혁신센터에 고용존을 설치해 지역의 젊은이들에게 좋은 일자리를 제공하고 지역 벤처·중소기업과 함께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할 것”이라고 27일 밝혔다.
미래창조과학부에 따르면 정부는 고용존을 크게 두 갈래의 방향으로 구성해 지역의 청년들의 취업을 지원할 계획이다.
이 중 하나는 유망한 신생·벤처기업이나 대기업의 구인 수요와 지역 청년의 구직 수요를 연결시켜주는 것이며, 또 다른 하나는 대기업이 자체 인프라나 네트워크를 활용해 협력업체나 지역의 중견기업이 필요한 기술인력의 수요를 파악한 뒤 이에 맞춰 교육 훈련을 해주는 방식이다.
취업난이 심한 현 시점에, 청년들 입장에선 대기업의 교육 훈련 프로그램을 통해 양질의 기술 인력으로 거듭날 수 있는 기회를 얻게 된다.
이와 더불어 정부는 첨단기업이 집적화된 세계적 융복합 클러스터로 조성될 ‘제2 판교 창조경제밸리’를 올해 안에 착공하기로 했다.
판교 창조경제밸리는 신흥국 등 외국의 유망 창업기업을 유치해 국내에서 사업을 하도록 하는 한편 국내 창업기업이 글로벌 시장으로 진출하는 ‘혁신 허브’ 역할을 맡으며, ‘기업지원 허브’도 내부에 건립돼 ‘창조-성장-혁신’이 공존하는 생태계가 조성되도록 지원한다.
기업지원 허브는 벤처기업이 아이디어·기술을 사업화하고, 이 기술을 시험(테스트베드)하는 것을 돕는 한편 행정·금융·연구개발(R&D) 지원 등 다각적인 사업화를 지원하게 되며, 창조경제를 지원사격하는 R&D 쪽에서는 내년부터 가시적 성과 창출이 기대된다.
더불어, 미래 성장동력 분야에 대한 투자를 확대해 사물인터넷(IoT), 무인이동체 드론, 5세대(5G) 이동통신, 스마트카 등 유망 미래 먹거리 분야에 중점투자하기로 했으며, 민간기업의 R&D 과제를 얼마나 많이 따오느냐에 따라 정부출연연구소에 출연금을 주는 ‘한국형 프라운호퍼’ 제도를 처음 시행한다. 또한 중소·중견기업 R&D 바우처 제도도 도입하기로 했다. [시사포커스 / 김유빈 기자]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