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간 합의로 남북교류협력사무소 설치할 것…6자회담 재개 노력도”

박 대통령은 이날 오전 청와대에서 직접 주재한 제6차 통일준비위원회 회의 도중 “앞으로 통준위에선 우리나라에 대한 자긍심과 확고한 국가관을 갖도록 하는 것이 통일의 시작이라고 생각하시고 노력해 주시기를 바란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이어 “이것이 선행되지 않으면 통일이 되기도 어렵고 통일이 돼도 우리의 정신은 큰 혼란을 겪게 되고 중심을 잡지 못하는, 그래서 결국 사상적으로 지배를 받게 되는 기막힌 상황이 발생할 수도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박 대통령의 이 같은 발언은 현행 역사교과서가 이념적 편향성이 있다고 보는 자신의 시각을 거듭 강조하면서도 이런 이념적 혼란이 통일에도 결코 긍정적으로 작용할 수 없기에 역사교과서 국정화는 필수적이라는 의지를 재확인한 거라 할 수 있다.
또 그는 북핵문제와 관련, “북한 핵을 해결하지 않고는 현상유지가 되는 것이 아니라 시간이 흐를수록 위협은 더 커지고 미래세대에 큰 짐을 안겨주게 될 것”이라며 “따라서 우리가 북한 비핵화에 강한 의지를 갖고 국제사회의 협력을 이끌어내는데 외교적 역량을 집중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박 대통령은 이어 “저는 지난 9월부터 미국, 중국, 일본, EU를 비롯한 여러 나라들과 정상회담과 다자회담을 갖고 북한 비핵화를 위한 협조를 이끌어냈다”면서 “특히 지난 주말 한·일·중 정상회의에서는 동북아 평화협력을 구현하기 위한 과제들을 구체화하면서 북한의 비핵화 목표를 확고하게 견제하며 의미 있는 6자회담의 조속한 재개를 위해 함께 노력해 나가기로 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그는 “북한 당국이 9·19 공동성명, 2·9 합의를 비롯한 기존 합의를 지키고 비핵화 의지를 분명히 하면서 대화의 길로 나올 것을 다시 한 번 촉구한다”고 입장을 밝혔다.
박 대통령은 “우리가 꿈꾸는 평화롭고 행복한 통일을 이루려면 우리의 주도적 노력과 함께 주변국가들과 국제사회의 적극적인 지지가 반드시 필요하다”며 “미·중·일 등 주변국뿐만 아니라 북한과 수교하며 협력관계를 맺고 있는 EU, 아세안 등의 국가에서도 주요 인사들이 참여해서 다각적인 협조를 받을 수 있도록 검토해 주기를 바란다”고 당부했다.
또 그는 지난 8·25 남북합의와 관련해서는 “한반도의 70년 분단 역사를 마감하기 위해서 남북한의 동질성 확보를 위한 노력을 해 나가야 한다”며 “우리는 지난 8월 위기 상황에서 8·25 합의를 이끌어 냄으로써 대화를 통해 관계를 진전시켜 나갈 수 있다는 가능성을 확인했다”고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당시 합의안의 이행사항 중 하나였던 이산가족 상봉과 관련해 박 대통령은 “지난 주 열린 남북 이산가족 상봉 행사는 통일의 필요성을 더욱 절감하는 계기였다”며 “다시금 기약 없는 이별을 앞둔 고령의 이산가족들이 ‘밤사이에 통일이 됐으면 한다’면서 발길을 돌리지 못하는 모습은 정말 고통스러운 아픔이었다”고 안타까움을 드러냈다.
그러면서 그는 “민간 차원의 교류와 행사를 통해 더욱 가까워지고 마음을 나누면서 같은 민족의 정을 나눌 수 있는 기회를 넓혀야 한다”며 “최근 남북간 민간 교류가 역사와 문화, 체육을 비롯해서 삼림, 병충해 등 다양한 분야로 확대되고 있는데 이런 흐름이 더욱 확산될 수 있도록 당국 차원의 지원이 뒷받침 돼야 한다”고 말을 이었다.
박 대통령은 또 “앞으로 남북간 합의를 통해서 남북교류협력사무소를 설치하고 이를 통해서 보건의료나 재난안전, 지하자원을 비롯해 남북 모두에게 이익이 되는 분야로 협력을 확대해 나가기를 기대한다”며 “8·25 합의에서 밝힌 대로 남과 북의 상호 관심사와 한반도의 미래를 위한 논의들을 하루 속히 시작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입장을 내놨다.
아울러 그는 “해외에 나가보면 고국의 통일을 위해 열정을 가지고 헌신하는 동포들을 많이 만나게 되는데 이분들이야말로 한반도 통일의 가장 든든한 후원자들”이라며 “전 세계 각 지역에서 살아가는 재외동포들의 네트워크를 구축해서 통일외교의 힘을 모아 나간다면 통일을 지지하는 국제적인 에너지를 훨씬 강화할 수 있을 것”이라고 통일을 가속화하기 위한 한 가지 방안을 제시하기도 했다.[시사포커스 / 김민규 기자]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