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용 부회장 방문 삼성重, 경영정상화 악재 셋
이재용 부회장 방문 삼성重, 경영정상화 악재 셋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중국 저가수주 공세 등 악재될까 우려
▲ 최근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이 삼성중공업 거제조선소 방문을 놓고 이견이 엇갈리는 가운데, 해양플랜트 사업 등이 경영 정상화에 걸림돌로 작용할 우려가 제기된다. ⓒ삼성중공업
최근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이 삼성중공업 거제조선소 방문을 놓고 이견이 엇갈린다. 매각을 염두에 둔 처사라는 말이 흘러나오는가 하면, 임직원들의 격려 차원일 뿐 이례적 방문은 아니라는 설명도 나온다. 삼성엔지니어링과의 재합병 추진 등 삼성중공업의 구조재편 방향에 대해서도 다양한 해석이 제기된다. 이같은 해석의 배경에는 삼성중공업의 경영 정상화가 시급해 어떤 식으로든 손을 볼 수밖에 없다는 판단 때문으로 풀이된다. 이런 가운데 해양플랜트 사업, 중국발 저가 수주 공세 등이 경영 정상화에 걸림돌로 작용할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11일 삼성그룹에 따르면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은 지난 9일 삼성중공업 거제조선소를 방문해 임직원들을 격려했다. 이 부회장은 이날 박대영 삼성중공업 사장 등 경영진으로부터 조선업계 동향과 회사의 수주·건조 동향, 해양플랜트 현황 등에 대해 보고를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 부회장의 이번 방문은 지난 2007년 삼성전자 전무 시절 이후 8년 만으로, 연말 그룹 사장단 및 임원인사를 앞둔 지방 사업장 방문이라는 점에서 이례적이라는 게 업계의 시각이다.
 
업계에서는 이 부회장의 방문 이유에 대해 다양한 해석을 내놓고 있다. 가장 먼저 대두된 건 삼성중공업의 매각을 염두에 둔 행보가 아니겠느냐는 견해다. 최근 삼성중공업이 실적 부진을 면치 못하는데다가, 그룹에서는 비주력 사업 정리에 속도를 내고 있다는 점을 근거로 둔다.
 
한화·롯데와의 빅딜로 화학사업을 모두 털어낸 최근 행보의 연장선상이 될 수 있다는 목소리가 나오는 이유다. 또 삼성엔지니어링과의 재합병 추진 가능성, 이 부회장의 회장 승진 가능성도 언급된다.
 
이 부회장의 방문에 대한 해석은 제각각이지만, 삼성 측에서 일축한 ‘임직원 격려 차원’ 만의 목적은 아니었을 것이라는 게 공통적인 견해다.
 
◆악재로 떠오른 해양플랜트
 
이런 다양한 관측이 나오는 배경에는 최근 삼성중공업이 경영 악화로 시름하는 상황 때문으로 풀이된다. 잇단 실적 부진을 눈 뜨고 보고만 있을 수는 없는 탓이다.
 
최근 삼성중공업의 뜻밖의 악재로 지목된 건 해양플랜트 수주다. 삼성중공업은 올 2분기 1조5491억원의 영업손실로 역대 최대 적자를 기록했다. 이어 3분기 역시 1조5000억원의 적자를 냈는데, 당초 846억원의 영업이익을 냈다고 발표했다가 100억원의 적자를 냈다고 정정 공시했다. 이는 미국 시추업체인 퍼시픽드릴링(PDC)이 일방적으로 건조가 완료된 드릴십을 찾아가지 않겠다면서 건조 계약을 파기했기 때문이다.
 
삼성중공업은 이에 따른 대손충당금 946억원을 3분기 실적에 반영하면서 결국 100억원의 적자를 기록하게 된 것이다. 현재 삼성중공업은 이에 대해 국제 중재 신청을 검토하고 있다.
 
특히 최근 해양플랜트의 부실 수주가 실적 악화의 주범으로 꼽히는 상황이다. 삼성중공업 뿐 아니라 현대중공업, 대우조선해양 등 ‘조선 빅3’ 모두 해양플랜트로 인해 어려움을 겪었다. 현대중공업도 올해 3분기 영업손실 6784억원으로 공시했다가 8976억원으로 정정했는데, 이는 노르웨이 발주처가 반잠수식 시추선 계약 해지를 통보함에 따른 것이다.
 
대우조선해양 역시 지난 8월 미주 지역 선주와 맺은 7034억원 규모의 드릴십 1척 계약 해지로 인한 손실을 3분기 실적에 반영, 1조2171억원의 적자를 냈다.
 
◆중국 저가수주 공세에 정책금융 제동까지
 
삼성중공업의 또다른 악재로 작용할 우려가 있는 건 중국 조선업체들의 저가 수주 공세다. 국내 조선업계는 중국과 비교해 연료소비효율과 내구성 등에서 우위를 선점하고 있지만, 중국산 선박의 가격은 5∼20% 저렴하다. 이에 따라 엔저를 등에 업은 일본과의 경쟁에서도 크게 밀리는 상황이다.
 
더구나 기술 격차는 갈수록 좁혀지고 있고, 수요는 제자리걸음이다. 중국 조선업체들의 저가 공세에 가뜩이나 공급과잉으로 수요가 부족한 상황을 심화시키고 있다는 평가다. 이같은 저가 공세에 중소 조선업체가 더 큰 타격을 입겠지만, 대형 조선사의 파이도 덩달아 줄어들 가능성이 높다.
 
정부의 여신 규제도 악재로 작용할 가능성도 제기된다. 최근 수출입은행 등 정책금융기관들이 저가 수주로 인한 사업 부실화를 막기 위한 대책을 내놨는데, 이로 인해 자칫 국내 조선업체들이 위축될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최근 이 부회장이 삼성중공업 사업장을 방문해 경영 위기 타개책으로 어떤 카드를 내놓을지 관심이 간다”며 “최근 조선업계 전체에 악재로 떠오른 장애 요인을 어떻게 이겨낼지도 주목된다”고 밝혔다. [시사포커스 / 신현호 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