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전 민정수석, 김성호 사무처장 유력 검토
청와대가 이번 주중 법무장관 인선을 마무리할 것으로 알려졌다. 천정배 전장관의 후임자는 사법개혁 마무리, 공직자부패수사처(공수처) 설치문제, 검경수사권 조정 등 난제들을 풀어야 하기 때문에 누가 될 지가 관심을 끌고 있다.
청와대 정태호 대변인은 26일 "3∼4명으로 후보가 압축됐다"며"대개 언론에 오르내린 사람들이 포함돼 있다"고 말했다. 청와대 핵심관계자는 "유력 후보군으로 문재인 전 청와대 민정수석과 김성호 국가청렴위 사무처장이 검토되고 있다"며 "당초 고사입장을 밝혔던 문 전 수석이 검토하겠다는 입장을 보인 것으로 알고 있다"고 전했다.
문 전 수석의 경우 검찰개혁 등 노무현 대통령의 국정철학에 누구보다 정통한 핵심측근이라는 점에서 부각되고 있다. 특히 노 대통령이 올 초부터 이종석 통일, 유시민 복지부 장관 등 측근인사들을 내각에 전진 배치했고, 최근 김병준 교육부총리까지 임명한 점으로 미뤄 결국 문 전 수석을 기용할 것이란 관측이 나오고 있다. 임기 후반기 레임덕(권력누수현상)을 최소화하기 위한 측면을 고려할 때 그의 발탁 가능성은 더욱 높다는 분석이다.
김 처장은 사시 16회의 검사장 출신으로 참여정부 들어 부패방지위 사무처장, 청렴위 사무처장을 줄곧 맡으며 업무 역량을 인정받은 것 때문에 물망에 올라 있다. 특히 검찰 조직을 잘 알고 있고 정상명(.사시 17회)) 검찰총장보다 1기수 선배라는 점도 임기말 검찰 조직 안정면에서 높은 점수를 받고 있다.
하지만 문 전 수석이 발탁될 경우 김병준 교육부총리 발탁 당시 빚어진 '코드 인사' 논란, 여당 반발로 인한 당.청 갈등이 재연될 조짐이 있어 변수가 될 전망이다.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