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교차관 “한․일 협력, ‘위안부 해결’ 전제조건 아냐”
외교차관 “한․일 협력, ‘위안부 해결’ 전제조건 아냐”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남북 고위급 회담, 모든 사안이 의제"
▲ 조태열 외교부 2차관은 “일본군 위안부 문제의 해결이 여타 분야에서의 한일 협력 진전을 위한 관문이기는 하지만 전제조건은 아니다”라고 언급했다.ⓒ뉴시스
조태열 외교부 2차관은 “일본군 위안부 문제의 해결이 여타 분야에서의 한일 협력 진전을 위한 관문이기는 하지만 전제조건은 아니다”라고 언급했다.

22일 외교부에 따르면 제1차 한미 고위급 경제협의회 등을 위해 미국을 방문 중인 조 차관은 지난 19일 미국 워싱턴DC에서 열린 미국 외교협회(CFR) 주최 한반도 전문가들과의 오찬 간담회 자리에서 ‘한일 관계나 공동이익 분야에서 위안부 문제가 너무 영향을 주는 것 아니냐’는 질문에 대해 이와 같이 답변했다.

조 차관은 “우리 정부는 과거사 문제와 별개로 안보와 경제 분야에서는 협력을 계속한다는 ‘투트랙 접근법’에 따라 한일 관계 개선을 위해 계속 노력할 것”이라고 부연했다.

아울러 남국 고위급 회담의 의제에 대해서는 “모든 사안이 의제가 될 수 있다"며 "최근 우리 정부가 남북 비핵화 대화 제의도 한 바 있다”고 전했다.

지난 10월 한·미 정상회담의 합의사항인 한반도 통일 관련 고위급 협의 강화 노력과 관련, “통일에 도움이 되는 환경 조성을 위해서는 주변국의 전적인 지원, 특히 미국과의 긴밀한 공조가 매우 중요하다”면서 “현재 각 레벨에서 이뤄지고 있는 양국 간 협의를 심화하는 방안을 앞으로 논의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특히 ‘한·중 관계 긴밀화가 한반도 문제에 있어 어느 정도의 성과를 거두고 있느냐’는 질문에는 “외교의 특성상 성과를 거두기까지 회임기간(pregnancy period)이 길다"며 "우리의 대(對) 중국 정책은 굳건한 한·미 동맹을 토대로 미래를 위한 투자라는 장기적이고 전략적인 차원에서 이뤄지고 있다”고 밝혔다.

‘한·일·중 3국 정상회의 정례화가 각국의 국내 문제 등으로 인해 제대로 이행될 수 있느냐’는 질문에는 “중·일 간 경쟁이 3국 협력의 틀 속에서 한국 외교의 공간을 넓혀주는 측면이 있다”고 설명했다.

외교부는 이번 간담회에 대해 “한반도 관련 미국 전문가들의 다양한 견해를 직접 청취하고 우리 정부의 정책을 상세히 설명함으로써 우리 외교안보 정책에 대한 이해와 지지를 높이는데 기여했다”고 높이 평가했다.

한편 미국 전문가들은 간담회에서 ▲한·일 관계와 한·일·중 협력 전망 ▲남북 고위급 회담 의제 및 한반도 통일 문제 관련 한·미 고위급 협의 강화 노력 동향 ▲한·중 관계 전망 ▲한국의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TPP) 참여 문제 ▲파리 테러사건에 대한 한국의 대응 등에 대해 관심을 보인 것으로 알려졌다. [시사포커스 / 박하늘 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