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朴 대통령, 국정수행평가서 위기관리·경제정책 등 낮은 점수”

안 전 대표는 이날 오전 안 전 대표의 싱크탱크인 ‘정책네트위크 내일’ 주최 하에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무엇이 정치와 정부의 신뢰를 결정하는가’라는 주제의 토론회에서 “무엇이 국민의 신뢰를 회복할 수 있는 길인지, 어떻게 내년 총선에서 승리할 수 있을지, 그래서 박근혜 정부의 독단과 과거로의 회귀를 막을 수 있는지에 대한 깊은 고민과 성찰이 요구되는 시점”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이어 “우리사회에서는 불신과 반목이 오랫동안 지속되고 있다. 이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는 높지만 본질적인 해결책은 보이고 있지 않다”며 ‘믿음이 없으면 설 수 없다’는 논어의 무신불립을 거론했다.
그러면서 안 전 대표는 “정부의 불신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높다”며 “정부 신뢰가 하락하면 정부정책에 대한 지지와 정책 순응도가 떨어지고 사회적 화합을 깨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 같은 주장에 대한 근거로 그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지난해 실시한 조사 결과를 내세웠는데 우리 정부의 대국민 신뢰도는 조사대상 41개국 가운데 26위로 34%에 그쳤다.
안 전 대표는 “이번 연구조사 결과를 보면 박근혜 대통령은 국정수행평가에서 안전정책·위기관리·주택정책·일자리정책·경제정책 부문에서 매우 낮은 점수를 받았다”며 “이는 국민을 이념적으로 편가르지 말고 국민의 삶의 문제를 해결하는데 집중하라는 국민의 요구일 것”이라고 꼬집었다.
그러면서 그는 “박근혜 정부는 지난해 세월호 참사, 올해의 메르스 사태 대처과정에서 보여준 무능과 혼란, 국민여론을 무시한 역사교과서 국정화 밀어붙이기 등이 정부 신뢰를 떨어뜨리는 요소임을 자각해야 한다”고 직격탄을 날렸다.
안 전 대표는 이어 “이번 연구결과는 국민들의 정치혁신과 정부개혁의 필요성을 거듭 제시했다는 점에서 저를 비롯한 우리 정치권의 성찰과 반성이 뒤따라야 할 것”라고 역설했다.[시사포커스 / 김민규 기자]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