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영권 프리미엄 포함 3조원 자금 마련 어려워

CJ는 지난 2일 공시를 통해 “CJ그룹은 코웨이 인수 예비입찰에 참여했으나 본입찰에는 참여하지 않았다”고 밝혔다.
CJ의 이번 코웨이 본입찰 불참 결정에 대해 ‘M&A 불확실성이 해소됐다’는 증권가의 평가가 뒤따랐다.
전용기 현대증권 연구원은 “CJ의 저평가 요인이었던 낮은 자기자본이익률(ROE)이 2017년까지 계속 상승할 가능성이 높고 매출 성장이 지속되고 있다”며 “영업이익률 개선은 구조적인 요인으로 주가 재평가가 기대된다”고 밝혔다.
전 연구원은 “경영권 프리미엄을 포함해 3조원에 달하는 인수금융을 CJ그룹 단독으로 조달하기에는 무리가 있다”며 “중국 정수기 시장이 연 50% 이상 고성장 중이지만 정수기 문화 자체가 식수 중심의 한국과 완전히 다른 데다 중국 내 영업망 구축에 상당 시간과 비용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당초 CJ그룹 측은 코웨이 인수전 참여와 관련해 “조심스럽긴 하지만 현 상황에서 매각 희망가격과 그룹의 현금 동원력 등을 감안할 때 인수 가능성은 그리 높지 않다”고 밝힌 바 있다.
인수가격의 부담도 컸다. CJ그룹 관계자는 “최고 3조원까지 거론되는 매각가는 현 시가(약 2조1000여억원) 이상으로 그리 매력적이지 않다”며 “무리해서 인수할 이유가 전혀 없다”고 설명했다.
전 연구원은 “코웨이가 국내에서 정수기 부문 외에 다른 영역으로 진입해 성공하기에는 대부분 경쟁이 격화하는 분야라 오랜 시간이 필요하다는 점이 본입찰 불참 결정에 영향을 미쳤을 것”이라며 “CJ그룹은 코웨이 매각 절차가 다시 진행돼도 인수전에 참여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시사포커스 / 신현호 기자]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