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출마해 경쟁력 높이고 안정의석 확보된다면 바람직”

원 원내대표는 이날 오전 불교방송 라디오 ‘고성국의 아침저널’과의 인터뷰에서 “20대 총선에서 우리 새누리당이 안정적인 의석을 좀 확보해서 국정운영을 안정적으로 하고 산적한 이 개혁과제들을 완수하는 것이 결국 국민들을 위한 길이라고 생각한다. 그런 차원에서 총선을 준비하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러면서 그는 “수도권에서는 여당이 굉장히 어려운 것이 현실 아니겠느냐”라며 “당의 많은 훌륭한 정치적 자산들인 이런 분들이 수도권에 출마를 해서 당의 경쟁력을 높여 주고 서로에 있어서의 안정의석을 확보하는 데 도움이 된다면 저희는 바람직하다고 본다”고 밝혔다.
이는 여권에 험지로 여겨지는 수도권 지역으로 출마하라며 전날 같은 당 김용태, 김성태 의원이 정몽준 전 대표, 오세훈 전 서울시장, 조윤선 전 청와대 정무수석, 이혜훈 전 의원, 안대희 전 대법관 등 여당 유력주자들을 지목한 데 대해 원 원내대표가 입장을 표명한 것이라 해석되고 있다.
특히 전날 중진 및 유력인사들의 ‘험지 출마’를 요구한 김용태, 김성태 의원들이 비박계에 속하는데다 이날 이들의 주장에 동조한 원 원내대표는 소위 ‘신박’이라는 친박계에 속하고 있기 때문에 사실상 그간 TK지역과 서울 강남3구 등 여권 우세 지역 출마를 노리던 친박계를 견제하고자 비박계에서 제시한 ‘험지출마론’을 원 원내대표가 지지한 배경이 무엇인지를 두고 여러 해석이 쏟아지고 있다.
일각에선 부산 영도가 지역구인 김무성 대표가 최근 서울 출마를 권유받은 데 대해 일축한 것과 관련해 연관성이 있는 것 아니냐는 견해도 내비치고 있으며 한편으로는 험지 출마론은 전략공천을 전제로 하는 만큼 이를 용납지 않는 김 대표 측을 압박해 ‘전략공천’을 이끌어내고자 원 원내대표가 ‘험지출마론’을 지지한 모양새를 취한 것이란 주장도 있다.
하지만 어느 쪽이든 간에 이제 원 원내대표까지 ‘험지출마론’을 둘러싼 논란에 뛰어들면서 향후 공천특별기구를 통한 공천 룰 논의 과정에서 이를 놓고 여권 내 갈등이 재점화될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시사포커스 / 김민규 기자]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