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 비례대표를 줄이고, 야, 연동형 비례대표제... 지루한 '줄다리기'

여‧야는 15일까지 내년 4월 20대 총선 선거구 획정안을 처리하기로 했지만, 예비후보자 등록일을 하루 앞둔 가운데 여‧야는 기존 입장을 고수한 채 합의점을 찾지 못하고 있어 선거구 미획정 사태가 예고 됐다.
15일 선거구 획정안을 처리해야 할 국회 정치개혁특별위원회의 활동 시한이 마감되지만 여야는 지역구 및 비례대표 의석수를 정하지 못했고 정개특위 연장 여부조차도 결정하지 못하고 있는 형국이다.
지난 12일 새누리당 김무성, 새정치민주연합 문재인 대표와 새누리당 원유철 원내대표 이종걸 원내대표는 국회에서 약 2시간에 걸쳐 '2+2회동'을 통해 선거구 획정 논의를 했지만 타협안을 찾지 못해 결렬된 바 있다.
이에 정의화 국회의장은 여‧야를 향해 “15일 전까지 합의를 이루지 못하면 '특단의 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경고 했다.
여당은 비례대표를 줄이는 것 외에는 방법이 없다고 주장하고 있는 반면 야당은 연동형 비례대표제 내용이 담긴 이병석 정개특위원장 중재안을 마지노선으로 제안하고 있다.
또 야당은 의석 수 조정과 선거제도 관련 논의를 함께 해야 한다는 입장이지만 여당은 선거구 획정 외 다른 논의는 없다고 맞서고 있어 내일까지 합의가 이뤄질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협상이 거듭 결렬되며 선거구 미획정 사태가 길어지자 정의화 국회의장은 "15일 선거구 시한을 넘기면 비상 상황"이라며 15일을 넘기면 직권상정까지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또 오늘 오후 여‧야 원내대표들을 소집할 것으로도 전해졌다. [시사포커스 / 김원태 기자]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