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부터 국내 최초 달 탐사 프로젝트 시작
내년부터 국내 최초 달 탐사 프로젝트 시작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성공적 임무를 위해 NASA와 협력
▲ 30일 정부과천청사에서 미래창조과학부 이석준 제1차관 주재로 제22회 '우주개발진흥실무위원회'에서 '달 탐사 1단계 개발 계획안'에 관한 심의와 의결이 진행되었다.ⓒ뉴시스
우리나라 최초의 우주탐사 프로젝트인 '달 탐사'가 내년부터 시작된다. 1단계 프로젝트는 시험용 달 궤선을 개발하고 발사하는 작업이다.
 
30일 정부과천청사에서 미래창조과학부 이석준 제1차관 주재로 제22회 '우주개발진흥실무위원회'에서 '달 탐사 1단계 개발 계획안'에 관한 심의와 의결이 진행되었다.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은 달 탐사의 기술적 기반 구축을 위해 내년 신규 예산 200억원을 확보했으며, 달 탐사 1단계 사업을 본격적으로 시작했다.
 
먼저 1단계(2016~2018)에서 달 탐사에 기술역량을 확실하게 하기 위해 시험용 달 궤도선을 미국 항공우주국(NASA)와 국제협력으로 개발하고 발사할 예정이며, 2단계(2018~2020)에서는 달 궤도선과 착륙선을 자력으로 개발하고 한국형발사체를 사영해 발사하겠다는 계획에 있다.
 
550kg급 '시험용 달 궤도선' 개발, 발사를 위한 궤도선 본체, 탑재체, 심우주지상국 등의 개발 및 2단계 사업을 위한 연구를 시작하며, 이를 위해 2016년부터 2018년까지 1978억2000만원의 예산이 투자될 전망이다.
 
또한 달 탐사는 국내 첫 시도인 만큼 시행착오의 위협이 있는데, 이를 줄이고 우주탐사 기술역량을 보다 확고히 다지기 위해 NASA와 기술협력에 관한 교류가 있을 전망이다. 우리는 시험용 궤도선 내 탑재공간의 일부를 NASA에게 제공하는 대가로 NASA로부터 달 궤도선 추적 및 심우주 항법, 심우주지상국 구축, 달 영상 등 데이터 처리시스템 개발 등에 대한 기술검증,에 대한 도움을 받기로 했으며, 이를 위해 2016년 상반기에 NASA와 국제협약을 체결할 방침에 있다.
 
이석준 미래부 1차관은 “달 탐사는 그동안의 위성개발과 나로호 발사 등의 우주개발 경험을 통해 확보한 기술을 바탕으로 나온 프로젝트이며 적극적 응원을 바란다.”고 전했다. [시사포커스 / 오무진 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