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무역 1조 달러 달성 실패…무역수지 최대 904억弗
지난해 무역 1조 달러 달성 실패…무역수지 최대 904억弗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산업부 “저유가에 수출부진…기저효과로 소폭 회복 기대”
▲ 지난해 수출은 전년대비 7.9% 감소한 5272억달러를 기록한 것으로 집계됐다. 수입은 16.9% 감소한 4368억달러였다. ⓒ산업통상자원부
지난해 수출은 전년대비 7.9% 감소한 5272억달러를 기록한 것으로 집계됐다. 수입은 16.9% 감소한 4368억달러였다.
 
교역량은 9640억달러를 기록해 무역 1조달러 달성에 실패했지만, 무역수지는 904억달러로 사상 최대 흑자를 기록했다. 기존 최고치인 지난해(472억달러)보다 2배가량 늘어난 수치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이 같은 내용 등을 담은 ‘2015년 수출입 실적 및 평가’를 지난 1일 발표했다.
 
지난해 무역 환경은 유가 등 원자재 하락이 수출입 단가 하락으로 이어지면서 불안한 흐름을 보였는데, 수출의 경우 저유가로 단가가 수출 부진의 핵심적인 요인으로 작용했다. 수출물량은 1734만t으로 전년보다 2.1% 증가했다. 세계 경기둔화·교역축소 등 경기적인 요인과 중국 수입구조 변화, 해외생산 확대 등 구조적 부진요인에도 불구, 2년 연속 증가세를 이어갔다.
 
품목별로 살펴보면 무선통신기기가 10% 성장했지만, 반도체(0.5%)와 선박(0.3%) 등은 전년 실적을 유지하는 데 그쳤다.
 
▲일반기계(-3.2%) ▲차부품(-4.1%) ▲자동차(-6.4%) ▲평판디스플레이(-8.1%) ▲섬유류(-10.3%) ▲철강(-15.0%) ▲가전(-16.8%) 등 주력 수출품목들은 부진했다.
 
다만 신규 유망품목인 ▲화장품(53.5%) ▲데이터저장장치(SSD·26.6%) ▲발광다이오드(OLED·25.0%) 등은 크게 성장했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베트남(24.3%)을 제외한 전 지역이 전년 대비 감소했다. ▲미국(-0.6%) ▲중국(-5.6%) ▲인도(-5.9%) ▲유럽연합(-6.9%) ▲아세안(-11.4%) ▲중동(-12.4) ▲중남미(-14.6%) ▲일본(-20.4) ▲CIS(-49.8%) 등 전반적으로 수출이 부진했다.
 
수입의 경우 유가하락으로 인한 원자재 수입 감소로 총수입이 크게 감소했다.
 
지역별로는 중국 수출이 0.4% 증가한 가운데 ▲미국(-3.1%) ▲일본(-15.1%) ▲유럽연합(-8.4%) ▲아세안(-15.8%) ▲중동(-42.2%) ▲중남미(-12.4%) 등은 모두 감소했다.
 
무역수지는 904억달러로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중국(469억달러) ▲미국(259억달러) ▲아세안(299억달러) ▲중남미(146억달러) ▲베트남(180억달러) ▲인도(78억달러) 등은 흑자를, ▲일본(-203억달러) ▲유럽연합(-91억달러) ▲중동(-382억달러) ▲CIS(53억달러) 등은 적자를 기록했다.
 
산업부는 “수출은 세계경제 및 교역의 완만한 회복, 전년 기저효과 영향으로 전년 대비 소폭 회복할 것”이라며 “수입도 원자재 수입 감소폭 축소, 소비심리 회복에 따른 자본재, 소비재 증가로 다소 증가할 전망”이라고 설명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