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제히 혁신과 선제적 대응 강조 나서

4일 재계에 따르면 현대차그룹 정몽구 회장은 시무식에서 “그룹의 성장을 지속하기 위해서는 미래 경쟁력 확보가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강조하고 연구개발(R&D) 투자를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정몽구 회장은 올해도 세계 경제가 중국의 경기 둔화와 저유가, 미국 금리 인상에 따른 신흥시장의 불안 등으로 저성장을 지속할 것으로 예측하고 올해 목표로 지난해 목표치로 제시했던 글로벌 판매 820만대에서 소폭 하향한 813만대를 제시했다.
롯데그룹 신동빈 회장 또한 “새로운 변화에 어떻게 적응하느냐가 우리의 미래 성장을 좌우할 것”이라며 거시적인 안목을 키워야 함을 역설했다. 신동빈 회장은 “기존 사업은 지속적인 기술투자와 혁신으로 경쟁력을 더욱 강화하는 한편 메가 브랜드 육성으로 시장 선도적 위치를 유지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LG그룹 구본무 회장 역시 위기 극복과 지속 성장을 위해 근본적이고 선제적인 변화를 주문했다. 구본무 회장은 전자와 화학 등 LG그룹의 주력 사업이 신흥국의 도전에 직면해 있는 현실을 상기시키면서 “안일하게 대처한다면 성장은 고사하고 살아남기조차 어렵다”고 지적했다. 그는 성장 가능성이 보이는 분야에 대해서는 과감한 지원을 통해 시장을 선점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GS그룹 허창수 회장 역시 선택과 집중을 강조하고 나섰다. 허창수 회장은 “잘할 수 있는 분야에 집중하고 역량이 부족한 분야는 과감히 버릴 줄 알아야 한다”면서 “외부환경 변화를 이겨내고 위기를 관리할 수 있는 역량을 확보해야 한다”는 생각을 밝혔다.
한화그룹 김승연 회장도 위기 대처 능력을 우선과제로 꼽았다. 김승연 회장은 “지금은 숲보다도 나무에 집중해야 할 때”라며 “환율·유가·금리 등과 같은 대외 변동성을 예의주시하며 예상되는 리스크를 선제적으로 차단하고 관리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한진그룹 조양호 회장 또한 “주체적 토대 위에서 철저한 위기대응 능력을 갖춰야 한다”고 강조했고 현대중공업 권오갑 사장은 “모든 어려움과 위험요소들을 우리 힘으로 극복하기 위해 생각의 변화, 행동의 변화가 필요하다”고 역설했다. 포스코 권오준 회장도 기존의 틀을 깨는 ‘구조혁신 가속화’에 총력을 기울일 것을 주문했다.
한편 삼성그룹 이재용 부회장은 와병 중인 이건희 회장을 고려해 올해도 시무식과 신년사를 생략했다. 대신 4~5일 이틀간 각 계열사들을 돌며 간담회를 가질 예정이다. [ 시사포커스 / 김종백 기자 ]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