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대년 획정위원장 사퇴…“현실정치 높은 벽 절감”
김대년 획정위원장 사퇴…“현실정치 높은 벽 절감”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국회, 작금의 비상상황 무겁게 인식해야"
▲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산하 선거구획정위원회 김대년 위원장이 8일 제20대 총선 선거구 획정 지연의 책임을 지고 위원장직을 사퇴했다. ⓒ뉴시스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산하 선거구획정위원회 김대년 위원장이 8일 제20대 총선 선거구 획정 지연의 책임을 지고 위원장직을 사퇴했다.

김 위원장은 이날 성명을 내고 “국회의 합의 없이는 독자적인 선거구획정이 불가능하다는 현실정치의 높은 벽만 절감한 채 위원들 간 합의점을 찾지 못했다”며 “위원장으로서 이런 결과를 내게 된 점에 책임을 통감하고 국민 여러분께 송구스럽게 생각한다”고 전했다.

김 위원장은 “획정위는 지난해 7월 정치개혁의 상징적 시도로써 헌정 사상 처음 이해당사자인 국회를 벗어나 외부 독립기관으로 출범했다”며 “그러나 여야 동수로 구성된 획정위원 간 의견이 첨예하게 대립했고, 재적위원 3분의 2 이상을 의결요건으로 하는 의사결정구조의 한계까지 더해져 결실을 맺지 못했다”고 사퇴 배경을 설명했다.

그는 또 “돌이켜 보면 이는 획정위원의 추천 방식과 구성비율, 그리고 의결정족수의 문제점이 고스란히 투영된 결과”라며 “앞으로 제도개선을 통해 선거구획정위를 명실상부한 독립기구로서 그 위상을 재정립해야 한다는 교훈을 남겼다”고 아쉬움을 토로했다.

아울러 김 위원장은 “선거구 공백상황을 뒤로 한 채 책임을 내려놓게 돼 비통한 심정을 금할 수 없다”며 “국회는 작금의 비상상황을 무겁게 인식해 20대 총선이 국민의 참정권이 온전히 보장되는 가운데 치러질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달라”고 부탁했다.

김 위원장은 위원장직 사퇴 후 중앙선관위 사무차장으로 복귀할 계획이며, 후임 획정위원은 중앙선관위 위원장이 통보한 사람을 소관 상임위원회인 국회 안전행정위원회가 위촉한다.

또한 위원장 궐위에 따른 위원장 직무대행은 획정위원 중 연장자인 한표환 위원이 맡게 될 예정이다. [시사포커스 / 박하늘 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