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작금의 비상상황 무겁게 인식해야"

김 위원장은 이날 성명을 내고 “국회의 합의 없이는 독자적인 선거구획정이 불가능하다는 현실정치의 높은 벽만 절감한 채 위원들 간 합의점을 찾지 못했다”며 “위원장으로서 이런 결과를 내게 된 점에 책임을 통감하고 국민 여러분께 송구스럽게 생각한다”고 전했다.
김 위원장은 “획정위는 지난해 7월 정치개혁의 상징적 시도로써 헌정 사상 처음 이해당사자인 국회를 벗어나 외부 독립기관으로 출범했다”며 “그러나 여야 동수로 구성된 획정위원 간 의견이 첨예하게 대립했고, 재적위원 3분의 2 이상을 의결요건으로 하는 의사결정구조의 한계까지 더해져 결실을 맺지 못했다”고 사퇴 배경을 설명했다.
그는 또 “돌이켜 보면 이는 획정위원의 추천 방식과 구성비율, 그리고 의결정족수의 문제점이 고스란히 투영된 결과”라며 “앞으로 제도개선을 통해 선거구획정위를 명실상부한 독립기구로서 그 위상을 재정립해야 한다는 교훈을 남겼다”고 아쉬움을 토로했다.
아울러 김 위원장은 “선거구 공백상황을 뒤로 한 채 책임을 내려놓게 돼 비통한 심정을 금할 수 없다”며 “국회는 작금의 비상상황을 무겁게 인식해 20대 총선이 국민의 참정권이 온전히 보장되는 가운데 치러질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달라”고 부탁했다.
김 위원장은 위원장직 사퇴 후 중앙선관위 사무차장으로 복귀할 계획이며, 후임 획정위원은 중앙선관위 위원장이 통보한 사람을 소관 상임위원회인 국회 안전행정위원회가 위촉한다.
또한 위원장 궐위에 따른 위원장 직무대행은 획정위원 중 연장자인 한표환 위원이 맡게 될 예정이다. [시사포커스 / 박하늘 기자]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