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노당의 장애인 관련 당헌개정 모범적
민노당의 장애인 관련 당헌개정 모범적
  • 김부삼
  • 승인 2006.08.08 14:2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한나라당이 이미지 쇄신을 하기 위해서는 배워야 한다
한나라당 장애인위원회 윤석용 위원장은 지난 7월 23일 민주노동당 전당대회에서 장애인에게 비례대표의 10%를 할당하고, 모든 선출직과 임명직의 5%를 장애인 당원에게 할당하는 당헌개정이 만장일치로 통과 된 사실과 관련해 “한나라당과 열린우리당도 이 제도의 도입을 촉구한다”며 당헌, 당규의 개정을 요구했다. 8일 윤 위원장은 “노무현 정권이 들어선 후 복지가 계속 뒷걸음치고 있는 이때에 장애인계의 숙원을 이루게 한 쾌거가 있어 칭찬을 아끼지 않는다”며 민주노동당의 장애인을 배려한 당헌개정에 대해 언급하고 “정당사상 처음 있는 일로써 장애인의 정치 접근권을 한층 더 보장하는 획기적인 조치”라는 입장을 밝혔다. 이어서 윤 위원장은 “그동안 장애인계는 장애인 당사자의 정책결정과정 참여가 실질적으로 보장되어야 한다고 주장해 왔었다”며 “민주노동당의 이번 조치가 장애인 정치 참여를 위한 구체적 방안의 근거를 마련한 것”이라고 환영의 뜻을 전했다. 또, “그동안 한나라당이 가지고 있는 귀족당, 웰빙당의 이미지를 쇄신하기 위해서라도 장애인과 그 가족들을 아우르는 구체적 제도를 시행해야 한다”고 주장한 윤 위원장은 “선거 시에만 전략공천이나 배려차원에서 고려할 것이 아니라 상시 제도로 당헌, 당규에 못 박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윤 위원장은 “여성의 정치참여를 제도화하여 비례대표 할당제도 홀수번호에는 여성을 배정하듯이 당선권 안 순위에 꼭 장애인을 일정비율로 배정하고 정치자금법을 개정하여 여성뿐만 아니라 장애인에게도 장애 출현율에 비례하여 정당보조금의 3%를 장애인정치참여 활성화를 위해 지원해야 한다”고 주장하며 “김대중 정권과 노무현 정권이 장애인계의 득표로 당선되었듯이 이제 한나라당에서도 대선의 승리를 위해서는 장애인계에 적극적으로 눈을 돌려 그들을 껴안을 수 있는 제도적 장치를 마련해야 한다”고 당헌, 당규 개정을 요구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