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마 선언하려 선 것 아냐…통합·단결 위해 어떤 역할이든 할 것”

김 교수는 이날 오전 국회 더민주 당대표실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더 이상 아버지의 이름을 호남 분열과 갈등의 수단으로 삼아서는 안 된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분열의 수단으로 아버지의 이름을 말하지 말라. 그 분이 하늘에서 눈물을 흘릴 것”이라며 “어려움을 겪는 더민주를 위해 저라도 나서야겠다고 각오했다”고 역설했다.
김 교수는 이날 더민주에 입당한 이유와 관련, “2012년 대선 당시 순수한 뜻으로 정권교체를 위해 뛰었던 것과 같이 다시 한 번 작은 힘이나마 보태려고 이 자리에 섰다”며 “더민주와 함께 아버지의 정신을 지키기 위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또 그는 “김대중 정신은 통합과 단결, 민주주의”라며 “모두가 자기를 버리고 자기를 희생해, 기필코 정권교체를 이뤄내기 위해 힘을 모아야 할 때”라고 힘주어 말했다.
김 교수는 이어 “당장 총선이 아니라 멀리 정권교체를 내다보고 뜻을 모아야 하며, 그런 지향과 목표를 품는다면 증오와 적대감을 버려야 한다”며 “결국에는 하나로 통합해야 하며, 결국에는 하나로 단결해야 한다”고 거듭 강조했다.
그러면서 그는 “통합과 단결을 위해 필요하다면, 어떤 요청도 마다하지 않겠다”며 “저는 오늘 출마선언을 하려고 이 자리에 선 것이 아니다”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아울러 김 교수는 “(고 김대중 대통령의 부인인) 이희호 여사와 상의를 했느냐”는 질문을 받자 “어머니에게 제 뜻을 말했고, 어머니는 ‘신중히 잘 판단해 할 것으로 믿는다’고 했다”며 “어머니는 현실 정치에 개입하지 않고, 앞으로도 그럴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더민주 측은 김홍걸 교수가 2012년 대선 전 문재인 대표를 도운 바 있으나 당시 당적을 갖지는 않았고 오늘 입당이 처음이라고 밝혔다.[시사포커스 / 김민규 기자]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