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강정책, 5장 14개절로 구성…지도부, 최대 7명 최고위원 체제 구성 방침

국민의당은 이날 오후 서울 마포구 도화동 당사에서 천정배·박주선 의원 등도 참석한 가운데 한상진 위원장이 주재한 비공개 정강정책 및 당헌당규 회의에서 이 같은 결정이 내려졌다고 최 대변인이 전했다.
최 대변인은 이어 “(정강에서) 재판에 계류 중인 당원에 대해선 당원 권리행사 중지 등 강력한 조치를 취하기로 했다”고도 덧붙였다.
또 국민의당은 이날 회의에서 정강 뿐 아니라 당헌에도 뇌물과 불법 정치자금 수수 등 혐의로 기소되면 기소되는 즉시 당원권이 정지되도록 규정키로 했다.
이는 사실상 기소만 되더라도 공천을 받을 수 없게 된다는 뜻으로 저축은행 금품 수수 혐의로 2심 유죄 판결을 받은 무소속 박지원 의원의 경우엔 국민의당에 합류해도 공천을 받을 수 없게 된다고 할 수 있어 최근 박 의원에 대한 입당 설득은 이제 확실히 포기한 것으로 보인다.
이밖에도 국민의당은 전당대회를 통해 선출직 최고위원 4명을 선발하고 당대표·원내대표가 지명하는 두 명 이내의 최고위원 및 정책위의장으로 해 최대 7명의 최고위원으로 지도부가 구성될 수 있도록 결정했다.
또 국민의당은 끝장토론 형식으로 진행된 이번 회의에서 정강정책을 5장 14개절로 구성하고 공평, 안전, 자유·정의, 세계화·안보 등에 대한 당의 정책방향을 설정했다.
이 중 통일 정책에 대해서는 ‘햇볕정책’을 직접 명시하진 않았지만 김대중 대통령의 ‘포용정책’을 계승·발전한다는 내용이 포함돼 눈길을 끌었다.
아울러 제왕적 대통령제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제도개혁의 필요성을 적시했을 뿐 아니라 이를 위해 개헌, 분권적 대통령제 등 다양한 가능성을 열어뒀다.
한편 이날 회의에 앞서 당 지도 체제 형태도 함께 결정되는 것 아니냐는 관측이 나온 바 있지만 이에 대해 최 대변인은 “오늘 저녁 당대표까지 얘기되지는 않을 것”이라고 일축했다.
이는 그동안 언론에서 당대표로 안철수 의원 단독 대표체제와 안 의원과 천정배 의원 공동 대표체제, 안 의원과 김한길 의원 공동 대표체제 등 다양한 형태에 대해 언급해왔지만 창당 전까지 불필요한 확대해석을 경계하고자 한 것으로 보인다.
끝으로 이날 회의에서 결정된 내용에 대해 국민의당은 오는 1일 중앙운영위원회의에서 확정할 예정이다.[시사포커스 / 김민규 기자]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