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경제 어려운 걸 야당 탓으로 돌려”

이 정책위의장은 이날 오전 국회에서 열린 당 원내대책회의에서 “경제 상황이 역대 최악이다. 지난해 성장률은 2.8%이고, 1월 수출액은 지난해 같은 달보다 18.5%p 줄었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박근혜 정부는 경제성장률 4%, 고용률 70%, 국민소득 4만달러, 474비전을 제시했는데 그 근처에도 가지 못했다”며 “(그럼에도)대통령, 기획재정부 장관 등이 이해할 수 없는 국회 탓, 야당 탓을 계속해서 하고 있다. 이 책임이 누구에게 있느냐”고 질타했다.
이 정책위의장은 “이는 총선을 의식한, 또는 총선에 올인한 거짓 정치선동”이라며 “여권이 경제활성화법을 국회에서 처리하지 않아 그렇다고 하지만 30개법 중 서비스발전법만 남았다. 그런데 서비스발전법이 처리되면 474가 되는 것인가”라고 반문했다.
그러면서 그는 “어떻게 이렇게 염치가 없느냐. 국민을 선동하는 정치선동은 그만두라”며 “한국 경제가 어려운 것을 야당 탓으로 돌리는 정부여당은 정치 선동을 중단하고 대화와 토론, 설득과 타협의 장으로 나오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또 이 정책위의장은 서비스발전법과 관련해서도 “서발법에는 명백하게 의료 민영화·영리화가 담겨있다”며 “그래서 우리는 서발법에서 보건의료분야를 빼자고 주장했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새누리당은 의료영리화는 하지 않겠다고 하더니, 우리가 (제외할) 법 조항을 주니 보건의료를 제외하자는 것과 비슷하니 수용하지 않겠다고 했다”며 “이것(의료 민영화)이 허용되면 단기적으로는 국민 건강과 안전에 위해가 오고 중장기적으로 의료비가 폭등한다”고 지적했다.
아울러 이 정책위의장은 파견법과 관련해선 “460만 노동자를 파견대상으로 내모는 법”이라며 반대 의사를 분명히 했다.[시사포커스 / 김민규 기자]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