與 “정부, 강력 대응해야” - 野 “대북 강경책, 근본적 해결책 못 돼”

새누리당 이장우 대변인은 이날 오전 현안 관련 브리핑에서 북한의 장거리 미사일 발사 계획에 대해 “계속되는 북한의 도발로 우리 국민들의 인내심도 한계에 도달했다”며 “북한의 장거리미사일 발사는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 위반일 뿐 아니라 한반도의 평화, 동북아의 평화, 세계의 평화를 위협하는 중대한 도발”이라고 질타했다.
이 대변인은 이어 “인공위성 확보가 목적이라고 하지만, 대륙간 탄도미사일 시험발사를 감추기 위한 위장이라는 것을 이미 전 세계가 알고 있다”며 “북한은 자신들의 도발행위가 국제적 고립이라는 부메랑으로 되돌아 올 수 있다는 것을 깨달아야한다”고 경고했다.
그러면서 그는 “북한이 진정으로 국제사회에서 인정받고자 한다면, 군사적 도발로 자신들의 위상이 높아질 것이라는 망상부터 버려야한다”며 “북한 지도부의 오판은 북한 주민들의 삶만 궁핍하게 만들게 될 것”이라고 일침을 가했다.
또 이 대변인은 우리 정부를 향해 “북한 당국의 움직임을 예의주시하고, 주변국들과의 긴밀한 협력을 통해 모든 돌발 상황에 신속하게 대처해주길 바란다”며 “강력하고 단호한 대응만이 대한민국을 지킬 수 있다”고 당부했다.
야당인 더불어민주당도 이날 오전 김성수 대변인의 브리핑을 통해 “북한은 장거리 로켓 발사 계획을 즉각 중단하라”고 입장을 내놨다.
더민주 김 대변인은 “북한이 4차 핵실험에 이어 또다시 한반도와 동북아의 안정과 평화를 위협하는 장거리 로켓을 발사하겠다고 밝힌 것에 강한 유감을 표명한다”며 “북한에 장거리 로켓 발사와 같은 도발적 행위를 즉각 중단하고, 우리 정부와 국제사회의 대화 요구에 즉각 호응할 것을 엄중하게 촉구한다”고 밝혔다.
아울러 그는 “유엔은 안보리 결의 2094호를 통해 탄도미사일 기술을 이용한 어떠한 추가적인 발사 등 어떠한 도발도 진행하지 말 것을 결정한 바 있다”며 “북한의 장거리 로켓 발사는, 이러한 유엔 안보리의 결의를 정면 위반하는 행위로 국제사회의 커다란 비난과 제재를 면하기 어려울 것”이라고 꼬집었다.
한편 정의당도 이날 북한 장거리 미사일 도발과 관련해 한창민 대변인 명의로 브리핑을 내고 “북한의 무모한 무력과시는 국제사회의 더욱 강한 대북제재만을 불러올 뿐”이라며 “북한은 즉각 미사일 발사 계획을 철회할 것을 강하게 촉구한다”고 전했다.
다만 한 대변인은 박근혜 정부를 겨냥해 “강경일변도의 대북정책은 한반도 비핵화와 동북아 안정을 위한 근본적인 해결책이 될 수 없다”며 “대북 정책의 기조를 전면 전환하고 6자회담, 남북 당국간 회담 등 대화 재개를 위한 노력에 모든 노력을 다할 것을 다시 한 번 촉구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시사포커스 / 문충용 기자]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