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억주도예, 중국진출의 서막 열어
1970년대부터 일본시장으로 본격 진출했던 한국도자가 장기침체에 빠진 일본 경기 탓에 주춤하고 있다. 이제 국내 작가들이 해외시장 특히 중국으로 눈을 돌리고 있으나 일본의 도자시장과 달리 한국의 전통도자가 쉽게 접근하기 어려운 곳이 중국시장이다.
그동안 차(茶)와 차호(茶壺) 분야 출판과 함께 2004년부터 중국국가대사급 자사차호 예인들을 초청, 한중도자문화전을 주최했던 한국 지유차회가 새로운 시도에 들어갔다. 8월10일부터 열리는 중국광저우국제차문화박람회에 한국도자의 특징을 알리는 작업에 들어간 것이다.
한국도자의 전통성과 미래에 대한 고민을 해오던 두 사람이 이번에 중국시장의 문을 함께 두드린다. 한국의 전통적인 토요(土窯) 방식을 고수하고 있는 문경 황담요의 대표 김억주 명인과 고언어와 동양학 분야의 연구자이면서 중국 이싱(宜興)의 도자문화를 상징하는 세 단체의 공동 고문으로 활동하고 있는 한국학연구소의 박현 소장이 그 주인공이다.
김억주 명인은 장작가마(土窯), 곧 망댕이가마에서 구운 작품 60여 점을 준비했고, 박현 소장은 김억주 도예를 중심으로 우리 도자가 지닌 철학적인 특징과 우리 도자의 전통적인 이름을 '김억주도자예술'(지유차회/도서출판 바나리)에 담아 준비했다. 아직도 일본이름으로 불리는 우리의 전통도자, 한국적인 철학과 생활양식이 배여 있을 한국의 전통도자의 미래는 무엇일까. 이에 대한 정리와 함께 중국시장 문을 두드리고 있다.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