롯데케미칼, 그룹 내 핵심축 등극할까
롯데케미칼, 그룹 내 핵심축 등극할까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유통서 화학으로 중심 이동…수익 폭증에 기대감↑
▲ 지난해 수익 면에서 큰 성장을 이룬 롯데케미칼은 그룹 매출의 절반가량을 차지하던 유통부문을 대신해 새로운 캐시카우로 급부상하는 모습이다. ⓒ롯데케미칼
롯데케미칼이 그룹 내 핵심축으로 등극할지 관심이 쏠린다. 지난해 수익 면에서 큰 성장을 이룬 롯데케미칼은 그룹 매출의 절반가량을 차지하던 유통부문을 대신해 새로운 캐시카우로 급부상하는 모습이다. 초라해지는 유통부문 실적은 더욱 롯데케미칼에 대한 기대감을 불러 모은다. 특히 롯데그룹이 지난해 삼성그룹과의 빅딜을 추진하면서, 롯데그룹의 중심축이 유통에서 화학분야로 넘어가고 있는 모양새다.
 
◆롯데케미칼, 수익 롯데쇼핑 앞질러
 
11일 업계에 따르면 지난해 롯데케미칼은 그룹의 유통분야 핵심축인 롯데쇼핑보다 훨씬 높은 수익을 거뒀다. 이에 따라 그룹 ‘캐시카우’ 역할을 롯데케미칼이 맡게 될 것이란 전망까지 나오는 상황이다.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롯데케미칼의 최근 3년간 매출액(연결기준)은 ▲2013년 16조4389억원 ▲2014년 14조8590억원 ▲2015년 11조7133억원 등 감소세를 이어가고 있다. 지난해 매출이 줄어든 건 유가하락에 따른 제품가 하락이 원인이다.
 
그러나 원료가격 하향 안정화로 마진이 높아지면서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은 큰 폭으로 증가했다. 롯데케미칼의 영업이익은 2013년 4874억원에서 2014년 3509억원으로 다소 줄어들었지만, 지난해 1조6111억원을 기록하면서 전년대비 359%나 늘었다.
 
순이익 역시 급증했다. ▲2013년 2858억원 ▲2014년 1437억원 등에 머물렀던 순이익은 지난해 9907억원을 기록, 전년대비 590% 폭증했다. 여기에 삼성 계열 화학부문이 추가될 경우 수익성은 더 크게 불어날 전망이다.
 
◆롯데쇼핑 주춤…매출 비중 변화 움직임
 
반면 롯데쇼핑의 경우 수익 면에서 신통치 않은 모습이다. 롯데쇼핑의 최근 3년간 매출(연결)은 ▲2013년 28조21170억원 ▲2014년 28조996억원 ▲2015년 29조1277억원 등이다.
 
영업이익을 살펴보면 ▲2013년 1조4853억원 ▲2014년 1조1884억원 ▲2015년 8578억원 등 매년 감소하는 추세다. 지난해는 전년대비 27.8% 급감했다. 지난 2008년 처음 영업이익 1조원대에 진입한 후 8년 만에 1조원대가 무너진 것이다. 이는 국내외 경기둔화로 인한 롯데백화점과 롯데마트의 부진이 주된 원인으로 꼽힌다. 두 곳 모두 지난해 메르스(중동호흡기증후군)여파로 국내 매출이 부진한 상황에서, 신규 출점과 신선식품 투자 등 비용 요인은 늘어났다. 특히 중국 경기 악화로 예상치 못한 타격을 입었다.
 
▲ 롯데그룹이 지난해 삼성그룹과의 빅딜을 추진하면서, 롯데그룹의 중심축이 유통에서 화학분야로 넘어가고 있는 모양새다. 사진/시사포커스DB

순이익에서는 3461억원의 손손실을 기록해 적자전환 했다. 국내외 소비경기 둔화로 인한 영업이익 감소 및 영업권 손상차손이 반영된 탓이다.
 
그룹 전체에서 차지하는 매출 비중에서도 변화의 조짐이 감지된다. 2014년 기준 그룹 전체 매출은 81조원이다. 이 가운데 롯데쇼핑 등 유통분야의 비중이 43%를 차지했고 화학분야는 29% 수준에 머물렀다. 그러나 최근 화학 분야의 약진이 두드러지면서 두 사업의 비중 차이 역시 급속도로 줄어들 전망이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롯데그룹은 유통, 석유화학, 건설, 금융 등 다양한 사업포트폴리오를 갖고 있지만 특히 롯데쇼핑을 포함한 유통 부문이 그룹의 캐시카우이자 핵심 축으로 통했다”면서 “최근 그룹이 화학 부문을 주력사업으로 키우는 모습인데다 롯데케미칼의 수익성까지 높아지면서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롯데케미칼, 그룹 내 입지 공고해질 것”
 
증권가의 기대도 만만치 않다. 증권사들은 롯데케미칼이 올해 주식시장을 주도할 종목으로 꼽았다. 지난해 10월 인수한 삼성SDI 케미칼 사업부문과 삼성정밀화학, 삼성BP화학 등이 가세하면서 기초화학제품 뿐 아니라 정밀·특수화학제품 분야에서도 성과를 낼 것이란 전망이다.
 
여기에 롯데케미칼이 보유하고 있는 원료 사업의 강점 등으로 안정적인 사업구조를 구축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또 고충격·고강성 내외장재로 사용되는 폴리카보네이트(PC) 부문도 양사의 협력으로 점유율 확대가 예상된다.
 
그룹 창립 이후 최대 인수합병으로 범용 제품에서 탈피해 고부가가치 제품 중심의 수익성 개선이 가능해지는 등 롯데케미칼의 입지가 공고해질 것이란 게 한 증권사 연구원의 설명이다.
 
롯데케미칼 관계자는 <시사포커스>와의 통화에서 “당사는 롯데그룹 내에서 화학사업을 꾸준히 하면서 제 역할을 해왔다”면서 “매출 목표는 따로 설정되지 않았지만 작년과 동일하게 올해도 실적이 나쁘지 않을 것으로 본다. 신규사업 역시 차질없이 진행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시사포커스 / 신현호 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