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7일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이 통계청 자료를 토대로 분석한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의 1인 가구 인구는 지난 1985년 66만 가구에서 지난 해는 506만 가구로 뛰어 올랐다.
전체 가구 가운데 1인 가구가 차지하는 비중이 1985년 6.9%였던 것이 지난해 27.1%로 3.9배 증가해 10가구 중 3곳꼴로 1인 가구인 셈이다.
특히 이 비중은 20년 뒤인 오는 2035년에는 34.3%까지 올라갈 것으로 예상된다.
또 한국의 전통적인 부부+자녀, 한부모+자녀, 부부+양친, 부부+한부모, 부부+자녀+부부의 형제자매 등의 형태인 2세대 가구는 1985년 641만 가구에서 지난해 883만 가구로 올라가지만 비중은 낮다. 다만 20년 뒤에는 35.9%까지 줄어 1인 가구와 비슷한 수준이 될 것이라는 전망이다.
뿐만 아니라 1인 가구와 마찬가지로 1세대 가구(부부 가구)의 수도 최근 20년과 마찬가지로 한동안 증가 추세가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전체 가구 중 1세대 가구의 비중은 1985년 9.6%(91만6천 가구)에서 2015년 19.2%(358만3천 가구)로 증가했으며 2035년에는 25.0%로 높아질 것으로 예측된다.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