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컷 오프 명단 발표 후 반발’ 지적에 “극복 말고는 다른 방법 없다”

김 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열린 당 비상대책위원회의에서 기자들로부터 비례대표설에 대한 질문을 받자 “이미 이 자리에 올 때 말했지만 ‘여기서 뭘 하겠다 안 하겠다’ 이런 말을 할 수가 없다”고 답했다. 긍정도 부정도 하지 않은 것이다.
김 대표는 이어 “나중에 진행되는 과정을 보고 확인하면 될 것”이라면서 “지금 상황이 어떤 지를 내가 알아야 단정적으로 말할 수 있는데, 그렇지 않은 상황에서 제 신상에 대해 말하는 것은 옳지 않다”고 강조했다.
앞서, 한 언론은 김 대표의 비례대표 출마설을 보도한 바 있다.
김 대표는 또 ‘컷오프 명단을 의원들에게 개별통보하면 탈당 등 반발이 있을 수 있다’는 지적에 대해 “공천관리위원회가 그 명단을 어느 시기에 발표할 것으로 안다”며 “그 다음에 나타나는 현상을 극복하는 것 말고는 다른 방법이 없다”고 말했다.
한편, 김 대표는 이날 회의에서 “당이 비정상적 상황에 있고, 비대위가 공천관리위원회에 공천심사와 관련된 모든 권한을 위임했다”며 “과거 같은 최고위원들의 ‘내 사람 봐주기’가 이번에는 있을 수 없으며, 있지도 않을 것”이라며 당 내부에 경고의 메시지를 보냈다.
김 대표는 “공천 과정에서 공천관리위원회가 외부 간섭을 받지 않도록 비대위가 적극 지원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선거구 획정이 늦어지고 있는 것에 대해선 “여당이 선거법에다 다른 법안을 연계, ‘이 법이 통과 안 되면 선거법은 안 된다는 것처럼 계속 물고 늘어져 선거구 획정이 늦어졌다”며 책임이 여당에 있음을 분명히 했다.
김 대표는 “선거법은 어느 특정 정당의 이익을 위해 만드는 것이 아니”라면서 “여당이 하루빨리 선거법을 확정하는데 허심탄회하게 노력해주기를 바란다”고 여당의 변화를 촉구했다.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