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부 “주한미군이 운용할 사드, 대한민국 방어 기여할 것”

국방부는 이날 오전 보도자료를 내고 “북한의 도발 행동은 직접적이고 심각한 위협이므로 우리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고 국가안위를 지키는 것은 국가의 기본 책무”라며 “이러한 책무를 완수하기 위한 일환으로 사드 배치를 협의하기 위한 공동실무단 구성 관련 약정을 체결한 것”이라고 전했다.
국방부는 이어 “북한은 일련의 핵실험과 장거리 미사일 도발을 지속해 왔고, 우리와 국제사회의 억제 노력에도 불구하고 전혀 변하지 않고 있으며, 앞으로도 도발을 포기하지 않을 것”이라며 “주한미군이 운용하게 될 사드 체계는 북한의 증대하는 핵과 미사일 위협으로부터 대한민국을 방어하는 데 기여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날 국방부가 사드 관련 한미 공동실무단 약정 체결 사실을 밝힘에 따라 지난 2014년 6월 이래 1년 9개월만에 양국 정부 간 공식 협의가 본격 시작된 것인데 먼저 단장직은 장경수 국방부 정책기획관과 헤드룬드 주한미군사령부 기획참모부장이 공동 역임하게 된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국방부는 이날 공식 출범한 공동실무단 전체 인원에 대해선 “필수 적정인원으로 편성될 것”이라며 정확한 규모를 밝히지 않았다.
이번 약정 체결로 공동실무단은 사드 포대 배치 부지 선정부터 배치에 따른 안전과 환경 문제, 비용부담 문제와 배치까지의 일정 등에 대한 협의를 곧바로 진행할 예정인데 향후 실무단에서 건의안을 마련하게 되면 양국 정부의 승인을 거쳐 최종적으로 사드 1개 포대가 한반도에 배치될 전망이다.[시사포커스 / 김민규 기자]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