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권 통합, 정권교체 못해도 ‘국회의원 다시 됐으면 좋겠다’는 전략”

안 대표는 이날 마포 당사에서 가진 기자회견을 통해 야권통합과 관련, “정권교체를 못해도 좋으니 ‘국회의원 다시 됐으면 좋겠다’는 전략 아닌 전략”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이어 “(야권통합은) 만년 2등, 만년 야당의 길”이라며 “국민의당은 정치인을 위해 존재하는 당이 아니고 국민을 위한 당이 하나는 있어야 한다고 믿기 때문에 태어난 당”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안 대표는 “지난 연석회의에서 많은 의원들이 굳은 결의를 보여줬다”며 “물도 없고 먹을 것도 없고 사방에는 적 뿐이지만 그래도 돌아갈 수 없다”고 거듭 야권 통합 제의를 확실히 거부했다.
그는 “모두가 이 광야에서 죽을 수도 있다. 그래도 좋다”며 “이제 더 이상 국민에게 희망고문을 할 수 없다”고 일갈했다.
특히 그는 통합을 제안한 더민주 김 대표를 겨냥해 “새누리당의 승리를 막기 위해 야권통합을 하자고 했지만, 이는 진정성 없는 제안”이라며 “우리당 의원들을 모욕하면서 ‘합치자, 돌아오라’ 하는 건 진정성 있는 제안이 아니라 정치 공작”이라고 일침을 가했다.
안 대표는 이어 “얼마 전 우리 당에 와 있는 분들에 대한 컷오프 결과를 발표한다는 무례한 행동을 하기도 했다”며 “(야권 통합) 제안 2일 전엔 우리 당 천정배 대표를 떨어뜨리려 영입인사를 자객공천 해놓고 어떻게 통합을 말할 수 있나”라고 지적했다.
또 그는 “제가 문재인 후보의 대통령을 만들기 위해 함께 다니는 동안 김종인 대표는 박근혜 후보와 함께하며 ‘문재인과 민주당에 정권을 맡기면 안 된다’고 한 분”이라며 “누가 통합을 말할 자격 있느냐”고 반문했다.
아울러 안 대표는 과거 박원순 당시 후보에 서울시장직을 양보했던 사례와 새정치연합 문재인 대표에 대권을 양보한 부분 등을 언급하며 “안철수가 새누리당에 맞서 야권통합을 위해 일관되게 세 번 결단하는 동안 김종인 대표는 새누리당의 세 확산을 위해 헌신했다”고 꼬집었다.
그러면서 그는 “국민 앞에 세 번이나 저를 믿고 지지해달라고 연대보증을 섰다”며 “국민이 국민의당에게 기회를 준다면 정말 국민을 위한 작은 변화라도 보여드리겠다”고 지지를 호소했다.
한편 그동안 더민주의 야권통합 제안을 고려해본다던 국민의당 천정배 공동대표도 같은 날 오전 광주 김대중컨벤션센터에서 열린 광주지역 공천 공개면접에 참석해 “통합은 불가하다는 명쾌한 결론을 내렸다”며 안 대표와 뜻을 같이 했다.[시사포커스 / 김민규 기자]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