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선 쉽게 하려면 마포 갔을 것”

그는 이날 오전 국회 정론관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국민의 승리, 더민주의 승리, 정권교체를 위해 무한 헌신하겠다”고 출마 소감을 밝혔다.
조 전 비서관은 이어 “‘이 놈 저 놈 똑같다’는 정치불신을 먹이로 수구보수 세력은 커가고 있다”며 “바로선 정치가 우리의 희망”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그는 “정치를 포기하는 것은 미래를 포기하는 것이고 저들을 웃게 하는 것”이라며 “절망의 늪에서 우리를 건져낼 수 있는 것도 정치일 수밖에 없다”고 힘주어 말했다.
또 조 전 비서관은 “저는 공직에서 법조계에서 전문적 경험과 식견을 쌓았고, 그리 길진 않지만 자영업자로서 애환을 온 몸으로 겪었다”며 “정약용 선생이 나고, 묻힌 남양주에서 이제 목민심서와 경세유표를 같이 새기겠다”고 다짐했다.
아울러 그는 “더민주가 저를 남양주갑 전략공천 후보로 결정한 것은 ‘반드시 이겨라. 반드시 바로선 정치를 하라’는 국민의 명령을 대신 전달한 것”이라며 “더민주에서 당원과 함께 국민만 바라보고 새로운 정치를 하고자 한다”고 덧붙였다.
한편 기자회견 뒤 기자들이 당초 마포 출마설이 돌았던 그가 왜 남양주갑에 출마하게 됐는지 묻자 조 전 비서관은 “쉬운 싸움보다 어려운 곳에 가서 역할을 하고 싶은 생각이 있었다”며 “쉽게 하려면 가만히 감나무 밑에서 입 벌리고 마포에 갔을 것”이라고 답변했다.
그러면서 조 전 비서관은 “우리당의 경기 동부지역 벨트가 상당히 위험하다는 말을 듣고 기여할 생각이 있었다”며 이 지역구의 현역 의원인 최재성 의원의 총선 불출마로 남양주 등 경기 동부에서의 야권 승리를 장담할 수 없게 됐다는 점을 꼬집었다.
또 그는 이번 총선에 출마하는 것이 박근혜 정부에 복수하겠다는 뜻이 있기 때문이 아니냐는 질문에 “복수가 아니다”라고 일축하며 “지금껏 임명직에서 노력했지만 한계를 느껴 선출직으로 나선 것”이라고 선을 그었다.
다만 조 전 비서관은 정윤회 문건 파동 당시 ‘비선실세 문건’으로 기소됐다가 1심에서 무죄를 받았던 점을 상기하며 “특정 개인에 충성하는 것이 아니라 국가와 국민에게 최선을 다하는 것이 공직자의 임무인데 권력의 사유화, 불투명한 과정을 지적하는 사람이 저 말고는 없었다”며 “저는 항상 목에 칼이 들어와도 ‘아닌 것은 아니다’라고 말했던 것인데, 그런 것들이 저를 이 자리까지 나오게 한 것 아닌가”라고 속내를 내비치기도 했다.[시사포커스 / 문충용 기자]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