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대북제제, 중국 공감·동참 가속시킨건 성과

또한 오늘 오후 서울에서 북핵6자회담 수석대표 김홍균 외교부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과 성김 국무부 대북정책특별대표가 참가하는 가운데 북한 제제협의를 위한 한·미 고위급회담이 개최됐다.
이 와중에 북한은 오늘 오후 3시경 함흥 북방지역에서 동해상을 향해 단거리 미사일 3발을 발사하며 무력도발을 시도했고, 공교롭게도 같은 날 우리 공군은 F-15등 전투기들을 대거 동원, 北의 핵심군사시설을 정밀타격 하는 모의 훈련을 벌인 상황이다.
◆ 한반도 긴장 속 국제사회의 행보
이미 지난 2월 25일에 유엔 안전보장이사회는 핵실험을 강행한 북한에 대한 조치로 ‘초강력’ 제제 안을 공개했다.
그 초강력제제의 뼈대 중 첫째는 북한의 수출입 화물에 대해 검색이 의무화됨은 물론 그 범위가 모든 화물로 확대된 것이고 둘째는 군수자원 수출입을 막았다. 북한은 군수물자인 항공유와 로켓 연료 수입은 물론 더 이상 금, 티타늄 등의 광석을 타국에 수출 할 수 없게 됐다. 그리고 모든 무기의 수출입을 금지한것이 세번째 사항인데 북한의 군사작전능력을 향상 시킬 수 있는 어떤 무기·물품도 보낼 수 없게 된 것이다.
◆ 북한에 대한 중국의 속내는? '불만'
안보리의 제제안에 거부하지 않고 동참의 뜻을 밝힌 중국의 속마음은 어떨까? 김관옥 계명대 정치외교학과 교수에 따르면 최근 중국 공군 장교의 한 기고문에서 북한이 중국의 경제지원으로 연명하는상황임에도 불구하고, 중국의 국익에 반하는 사드의 한국 배치 구실(4차 핵실험 및 미사일 발사)을 제공한 것에 대한 강한 불만이 제기됐다고 밝혔다. 결국 중국은 사드의 한국 배치를 막기 위해 유엔의 ‘초강력 대북제제’에 대한 동의로써 사드라는 ‘급한 불’을 끈 셈이라고 설명했다.
◆ 우리 정부의 대응... ‘내 갈길 간다’
한편 우리 정부는 지난 8일 독자적인 대북 제재안을 발표했다. 그리고 유엔 안보리 제제에 포함되지 않은 김영철 통일전선부장 및 40명, 단체 30개의 금융제재 리스트를 발표했고, 북한에 들렀던 외국 선박도 180일간 국내입항이 금지됐다. 이로써 북한 및 러시아와 협력하여 추진해온 나진-하산 프로젝트도 무산된 상태다.
이러한 정세와 정부의 대북 제제·강경책에 관한 찬반양론도 엇갈리는 가운데 당분간 북측이 핵실험과 무력시위를 그만두는 등의 눈에 띄는 변화가 없는 한 남북 간의 냉랭한 분위기는 계속 될 모양새다. [시사포커스 / 강민욱 기자]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