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철수 “교섭단체 되면 소선거구제 개편할 것”
안철수 “교섭단체 되면 소선거구제 개편할 것”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다당제, 제도적으로 정착할 수 있도록 할 것”
▲ 국민의당 안철수 대표가 4일 한국방송기자클럽 초청토론회에 참석해 3당 구도 정립이 필요하다고 주장하고 있다. 사진 / 원명국 기자
[시사포커스 / 김민규 기자]국민의당 안철수 대표는 4일 “새 당이 교섭단체가 되면 국회의원 소선거구제를 개편하겠다”고 선언했다.
 
안 대표는 이날 오후 세종문화회관 세종홀에서 열린 한국방송기자클럽 초청토론회에 참석해 “매번 선거 전 이합집산이 된다. 당들이 이합집산 할 수 없도록 하겠다”며 이같이 말했다.
 
안 대표가 소선거구제 개편을 강조한 이유는 소선거구를 채택하는 경우 의원은 후보자 중 최다 득표자만 선출되기에 ‘다수대표제’가 됨으로써 소정당의 원내 진출이 어렵고 현재 같은 양당제 형태로 굳어지기 쉽기 때문이다.
 
또 그는 “오픈프라이머리 도입을 검토해야 하고, 대통령 결선투표제가 있어야 된다고 본다”며 “그래서 다당제가 제도적 안정적으로 정착할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힘주어 말했다.
 
그러면서 그는 “3당 정립 구도가 되면 반대만 해서는 반사이익을 얻을 수 없다. 국민의당이 해결책을 내놓을 것이기 때문”이라며 “그러면 야권도 대안을 내놓을 수밖에 없고 그게 대한민국 문제 해결의 시작”이라고 주장했다.
 
이 뿐 아니라 근래 여야 공천 정국에서 유행했던 현역 물갈이와 관련해 안 대표는 “물갈이한다고 하는데 흙탕물을 그대로 두고 고기만 갈면 더러운 물에서 사는 고기만 살아남는다”며 “사람만 바꿔서는 안 된다”고 지적했다.
 
한 발 더 나아가 그는 “더민주로는 정권 교체가 가능하지 않다는 것이 민심의 판단”이라며 “저희들이 캐스팅보트가 되겠다. 정치구조 변화의 시작이라고 본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안 대표는 이어 ‘경제가 문제’라는 더민주를 겨냥해 “경제정책만으로는 안 된다. 성장이 제대로 되기 위해선 과학기술의 발전, 인재육성이 받침이 돼야 한다”며 “제2의 과학기술혁명, 창업혁명, 교육혁명을 비전으로 내세워 20대 국회에선 미래일자리위원회 만들고 매년 예산의 1%인 4조원을 미래 세대를 위한 새로운 산업에 투자하도록 하겠다”고도 천명했다.
 
한편 그는 이번 총선 목표와 관련, “최소 20석에서 최대 40석을 생각하고 있다”며 “호남에서 20석, 비례대표로 10석, 수도권과 충청에서 8석을 확보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아울러 안 대표는 야권 단일화에 대해선 “당대당 연대는 더불어민주당 김종인 대표가 먼저 거부하고 오락가락하고 있다. 현실적으로 가능하지 않다”라며 “(단일화는) 후보의 판단에 맡기고 있다. 당이 가이드라인이나 지침을 가진 건 없고 후보가 물어오면 의견을 제시하고 있다”고만 밝혔다.

이밖에 안 대표는 이 자리에서 현재 시대과제로는 격차 해소와 평화통일을 꼽으면서 이를 위해 우선적으로 필요한 게 정치개혁이라고 역설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