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립유공자들의 후손들의 현실
독립유공자들의 후손들의 현실
  • 문충용
  • 승인 2006.08.19 14:3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친일파의 후손들과는 정반대, 적당한 방식 찾아야
2006년 대한민국 광복이 61주년이 됐다. 정부는 해마다 300~500명씩 독립유공자 등을 새로 발굴해 생존자와 유족 등에게 포상하고 있다. 하지만 독립 유공자와 그 후손들은 여전히 고달픈 삶을 이어가고 있다. 나라의 주권을 찾기 위해 일생을 바친 독립유공자들의 후손들에게 돌아온 것은 가난이었다. 생존 독립유공자와 유족의 수는 자연사 등으로 갈수록 줄어드는 추세다. 국가보훈처에 따르면 건국 이후 독립유공자 포상자는 모두 1만469명. 8월 현재 생존해 있는 애국지사는 이번 광복절에 새로 건국포장을 받게 된 최고령 여성독립운동가 이효정(93) 여사를 포함해 모두 245명(독립장 6명, 애국장 34명, 애족장 159명 , 건국포장 14명, 대통령표창 32명)에 불과하다. 문제는 그렇게 애국지사가 줄어드는 데 비례해 이들에 대한 사회의 관심도 역시 낮아지고 있는 것이다. ◆독립유공자 후손 반 이상이 직업 없어 조국과 민족을 위해 헌 신한 독립유공자들의 후손 상당수는 사회적, 경제적으로 매우 어려운 상황에 처해 있다. 광복절이 되면 언론을 통해 보도는 항상 하고 있지만 그들의 처후는 전혀 개선되지 않고 있다. 친일파의 후손들이 풍요를 누리고 있는 극적인 대조 상황이 개선되지 않고 있다. 지난 2004년 민족문제연구소는 보훈처로부터 보훈 혜택을 받고 있는 독립유공자 후손 5154명 중 4.4%를 무작위 추출해 표본 조사를 실시했다. 그 결과 후손 10명 중 8명이 고졸 이하의 학력으로 조사됐다. 또한 10명중 6명이 직업 없이 정부의 보조금으로 겨우 살아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무엇보다 조사대상 중 절반 이상의 응답자들이 생활, 경제 수준을 묻는 항목에서 자신들이 ‘하층’이라고 답했다. 그 ‘충격 적인 현실’을 드러내놓았지만 정부와 사회의 관심도를 높이는 데는 역부족이었다. 국가보훈처는 독립유공자에 대한 지원 사업을 다양하게 추진하기 위해 노력을 하고 있다. 그러나 독립유공자 지원방식에 허점이 많고, 후손의 상당수가 국가의 지원에서 완전히 배제되어 있다는데 문제가 있다. 서울 흥사단에 따르면 국가보훈처로부터 연금 등 각종 혜택을 받을 수 있는 사람은 유족 1명으로 한정돼 있다. 선순위 유족(1순위 배우자, 2순위 자녀, 3순위 손자녀)이 사망할 때까지 2남, 3남, 딸 등 가족들은 전혀 지원을 받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이들처럼 국가보훈처로부터 유족등록증을 발급받지 못한 유족들의 경우 실태조사도 되고 있지 않다. 정부가 지원을 검토하려고 해도 기초자료조차 제대로 파악되지 않은 상황인 것이다. 결국 독립유공자의 후손들은 이런저런 정부의 혜택에서 소외돼 경제적, 사회적 어려움을 겪고 있고, ‘빈곤의 대물림 현상’이 고착화 되고 있는 셈이다. 흥사단 관계자는 “국가보훈처는 독립유공자에 대한 지원 사업을 다양하게 추진해 왔지만 독립유공자에 대한 지원방식에 허점이 많고, 후손의 상당수가 국가의 지원에서 완전히 배제되어 있다” 며 “국가보훈처가 발행한 유족등록증을 받고서도 무대책 상태에 있는 유족도 765명”이라고 밝혔다. 이들 중 450명만이 2005년 부터 월 25만원의 생계지원비가 지급되고 있으며 이들에 대해 연 금, 의료, 교육 등의 혜택은 전무한 상태다. ◆지지부진한 독립유공자후손돕기사업 서울 흥사단은 ‘빈곤 의 대물림’의 끈을 끊기 위해 지난해 8월부터 경제적 어려움 등 에 처한 소외된 독립유공자 후손 30명에게 독지가와 회원들의 후원금으로 3차례에 걸쳐 3000여만원의 장학금을 지급해오고 있다. 그러나 후원금 부족으로 지속적인 활동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흥사단 관계자는 “추가 장학금 지급 대상자는 늘고 있으나 후원금 부족으로 사업이 난관에 부닥쳐 있다”며 “시민과 기업, 정부 등 각계각층이 나서 장기적으로 독립유공자 후손에 대한 사회 적 관심을 높이는 국민운동을 전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 계획에 따르면 독립유공자 후손은 누구나 장학금 지급 대상이 될 수 있으며, 자격요건을 구비한 후손들에게 공평한 기회를 제공하게 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