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포커스/ 윤성필 기자] 북한이 지난 23일 동해에서 발사한 잠수한 탄도 미사일(SLBM) 이 나름대로 성공적 발사였다는 군사전문가들의 의견이 나와 우리 국방부의 대함작전에 비상이 걸렸다.
또한 이는 미국과 협의 중인 사드배치마저 무력화 될 수 있어 대북 군사작전에 전면적인 조정이 불가피해 정치권에도 파문이 예상된다.
미국의 북한전문 웹사이트인 38노스는 25일(미국시간) 미국 에어로스페이스의 북한 미사일 전문가인 존 실링 연구원의 기고를 싣고, “북한의 SLBM발사는 나름대로 성공적이었다” 밝혔다.
존 실링 연구원은 기고에서 “북한의 SLBM이 작전 환경에서 신뢰성 있게 운용되는 방향으로 기술적 진전을 보고 있음이 확인됐다” 며 “2020년에 이르면 실질적 위협으로 부상할 것이다”고 경고했다.
존 실링 연구원은 “이번 SLBM 발사 실험은 북한이 과거 액체연료 추진시스템을 포기하고, 보다 강력한 고체연료 추진시스템으로 전환했음을 보여줬다"고 설명했다.
이어 존 실링 연구원은 “한국의 군 소식통들은 이번 SLBM이 30㎞를 비행하는데 그쳐 실패 한 것으로 보인다고 평가한 것은 명백한 오판이다”고 강조했다.
존 실링 연구원은 “ SLBM 발사 실험은 30㎞만 비행해도 탄도미사일 실험은 성공적인 것”이라며 “ 이번 발사에는 분명히 발사속도가 음속을 초과했다"고 분석했다.
또 실링 연구원은 “이번 미사일이 30㎞를 비행했다면 이것은 30㎞까지만 날아갈 수 있도록 연료를 채웠기 때문일 수 있다” 며 “이미 네 차례 SLBM 발사에 실패한 북한으로서는 연료를 완전히 채웠다가 실패하는 상황을 원하지 않았을 수도 있다”고 설명했다.
마지막으로 실링연구원은 “액체연료에서 고체연료를 줄인 것은 그만큼 사거리가 줄었다는 의미이다” 며 “하지만 1600km 의 액체연료에서 900km 고체연료로 줄였다 해도 잠수함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위협은 마찬가지이다”고 강조했다.
존 실링 연구원은 “사거리 900km라도 잠수함으로 이동하면 한국은 물론 일본까지 얼마든지 사정권이다” 며 “동해만 벗어나서 괌이나 하와이를 진입하면 얼마든지 미국에 대해서도 사거리를 확보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