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원 예약시 선입금? 예약부도 '노쇼' 방지 간담회열려
병원 예약시 선입금? 예약부도 '노쇼' 방지 간담회열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공정위·한국소비자원 '예약 선입금제도' 제안, 의료계는 난색
▲ 예약부도(노쇼)는 의료기관에 국한된 문제만은 아니다.ⓒKBS드라마 캡처
[시사포커스 / 강민욱 기자]의료기관에 대한 예약부도(No-Show) 근절 대책을 위한 간담회가 열렸다.

26일 무책임한(갑작스런) 예약취소라는 의미가 담긴(No-Show) 문제 해결을 위해 공정거래위원회와 한국소비자원이 제일병원에서 의료계 전문가들과 간담회를 열었다. 간담회 자리에서는 의료기관에 갑자기 예약취소를 하는 노쇼에 대한 방지대책이 논의됐다.
 
박상근 대한병원협회 회장은 무책임한 예약 취소로 인해 애꿎은 피해를 보는 사람을 수도 없이 봤다며 꼬집었고, 더구나 중대한 치료를 앞두고 수술방을 비워놓는 것, 의료진은 대기하는 등의 유·무형적인 낭비까지 고려하면 심각한 문제라는 견해도 나왔다.
 
한편 이날의 핵심화두는 ‘예약 선입금’ 제도의 도입인 것으로 알려졌다.
 
공정위와 한국소비자원은 의료기관 자체적으로 '예약 선입금'을 받는 방안을 제시했다. 그러나 의료계 관계자들은 난색을 표했다.
 
민응기 제일병원 병원장은 "항공 · 기차 등의 교통 분야에서는 정착됐지만, 사실 선입금을 받는 것은 의료기관 입장에서 매우 부담된다"고 밝혔다. 민 병원장은 선입금제를 의료기관에서 시행하면 국민들의 거센 반발에 당면할 것임을 지적했고 정부에서 올바른 예약 문화 정착을 위해 노력해주길 조언했다.
 
한편 일각에서는 중대한 대기자들이 있는 수술예약 등에 선별적으로 예약금을 책정하면 이러한 선의 피해자를 방지하기 위한 취지의 예약 선입금제도에 대해 공감하는 국민들도 많을 것이라는 의견도 나온다.
 
결국 이날 간담회에서는 다음번에 예약 선입금제도 도입 여부를 검토하는 것으로 결론이 났고, 다만 예약 부도근절을 위한 캠페인 · 홍보는 앞으로 더욱 강화하기로 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