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평균, 그러나 '이뤄낼수 있다'는 측면에서 무시못할 통계

27일 행정자치부 등에 의하면 정부는 '2016년도 공무원 전체 기준 소득월액 평균액'을 지난해보다 5.1% 증가한 491만원으로 최근 관보에 게시했다. 기준소득월액이란 매월 공무원연금 기여금과 수령액을 계산하는 기준이되는 소득금액으로 공무원들의 월평균 총소득과 거의 일치하는 금액으로 알려져있다.
이러한 공무원 전체 평균 기준소득월액은 2011년 395만원, 2013년 435만원, 작년에는 467만원을 기록하며 상승세를 이어갔다. 올해도 여지없이 상승해 490만원을 넘어섰다.
여기에 가맹점등에서 현금같이 결제가 가능한 맞춤형복지 시스템인 복지포인트까지 합치면 실제 공무원의 평균 월소득(월급)은 이보다 더 많다는 견해도 나온다.
그러나 간과해서는 안 돼는 점은 전체 평균 기준소득월액 491만원은 최하위 공무원부터 고위 공무원까지 전체 공무원을 아울러 평균 낸 수치기 때문에 상당한 수의 공무원들 소득보다 많은 수치다.
예를 들어 9급 1호봉 세전 봉급 및 수당 등을 합치면 약 200만원으로 계산되지만 장관급은 봉급만으로도 1천만원이 넘는 것으로 알려진다.
한편 높은 월소득(월급) 수치도 엄연히 공직을 오래 수행하면서 이뤄낼 가능성이 있다는 점에서 식을 줄 모르는 ‘공무원 열풍’의 이유를 짐작할 수 있게 해주는 측면으로 보인다.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