징계만 내렸는데... NH투자證 속앓이 왜?
징계만 내렸는데... NH투자證 속앓이 왜?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성과자’ 공포 불어 닥쳐
▲ 구조조정의 한파에서 한발 비껴 있는 증권가에도 구조조정 한파가 불어 닥칠 조짐이 감지되고 있다. 국내 대형 증권사들이 인수합병(M&A)으로 재편되면서 자연히 업무 중복으로 인한 구조조정이 고개를 들고 있어서다. 사진/시사포커스DB
[시사포커스/ 김용철 기자] 구조조정의 한파에서 한발 비껴 있는 증권가에도 구조조정 한파가 불어 닥칠 조짐이 감지되고 있다.

국내 대형 증권사들이 인수합병(M&A)으로 재편되면서 자연히 업무 중복으로 인한 구조조정이 고개를 들고 있어서다.

최근 실적악화가 장기화되면서 인력 구조조정이 한번 휩쓸고 간 상황이어서 구조조정에 한파에 다시 직원들의 불안감은 커지고 있다.

특히 NH투자증권이 직무태만 및 실적부진 등의 이유로 강서 프런티어와 강동 프런티어 지점 직원 21명에 대해 윤리위원회에 회부하면서 업계선 인력 구조조정의 신호탄이 아니냐는 관측을 내놓고 있다.

◆'저성과자' 징계 놓고 노사 해석은…
▲ 노조측은 이번 징계 수위를 놓고 “노동위원회에 부당징계구제신청을 내고 법적 대응할 것”이라고 밝혔다. ⓒNH투자증권

사측은 지난 18일 이들 21명에 대해 불량한 직무수행 및 직무태만으로 25일 윤리위원회를 열어 26일 정직, 감봉, 주의 징계를 내렸다. 이를 두고 사실상 인원감축에 수순에 들어간 것이 아니냐는 관측이지만 사측은 극구 부인한 것으로 알려졌다.

NH투자증권에 따르면 저성과자에 대해 실적 향상 주문을 위한 경각심을 일깨우기 위한 조치였다며 항간에서 지적한 해고와는 무관하다는 입장이다. NH투자증권이 윤리위원회에 회부한 21명은 직무태만 및 실적부진 등의 이유가 원인이었다. 이들은 정직, 감봉, 주의 징계가 내려졌지만 여기서 그칠 것이 아니라는 게 노조의 생각이다.

여기서 문제는 징계가 내려진 이들 21명이 프런티어지점 소속이라는 것이다. 프런티어지점은 2014년 NH투자증권과 우리투자증권이 합병하는 과정에서 새로 만들어진 지점으로 강서와 강동 두 곳이 있다.

이 곳은 우리투자증권 당시 실적 부진 직원들만 배치됐던 방문 판매본부가 있던 곳이다. NH투자증권은 합병 후 이곳에 저성과자들을 보내 상품설명과 고객의 전화응대 등을 재교육하고 있다. 노조측은 “2년 전 구조조정 이후 약 850명이 짐을 쌓다”며 “실적이 낮다는 이유로 이들을 윤리위원회에 회부해 징계를 통해 해고할 가능성이 높다”고 주장했다.

노조가 이렇게 반발하는 것은 프론티어지점에 배치된 인원들이 성과를 낼 수 없는 근무환경 여건을 들고 있다. 노조측 주장에 따르면 2년 전 구조조정에서 명예퇴직에 응하지 않았던 상당수 직원이 프론티어지점에 포함돼 있고, 근무환경도 초기에 개인컴퓨터조차 없이 책상과 전화만 주는 실정에서 성과를 낸다는 것은 무리라는 설명이다.

◆희망퇴직說 다시 고개 드나
▲ NH투자증권(사진, 김원규 사장)에 따르면 저성과자에 대해 실적 향상 주문을 위한 경각심을 일깨우기 위한 조치였다며 항간에서 지적한 해고와는 무관하다는 입장이다. ⓒNH투자증권

돌이켜 2년 전 NH증권은 우리투자증권과의 인수합병 당시 600여명의 직원이 회삿짐을 쌓다. 이후 NH투자증권으로 통합 출범이후 올해 첫 구조조정으로 300명이 희망퇴직을 실시한다는 ‘희망퇴직설’이 불거지면서 노사간에 홍역을 치른바 있다.

당시 NH투자증권측은 “인위적인 구조조정은 없다”며 진화에 나섰다. 노조측도 “희망퇴직에 대한 계획이 없다”는 것을 조합원에 알리는 것으로 회망퇴직설 차단에 나섰다.

업계선 NH투자증권이 2014년 우리투자증권을 인수하면서 업계 1위에 올랐지만 최근 미래에셋증권이 대우증권을 인수하면서 2년 만에 왕좌 자리를 내줬고 ISA 판매에 은행권과 치열하나 경쟁다툼으로 수익 개선에 힘들어지면서 인력감축을 통해 비용을 절감하겠다는 계산으로 희망퇴직설이 불거진 것으로 분석했다.

그러나 이번 저성과자를 대상으로 징계수위가 결정되면서 희망퇴직 수순으로 가지 않겠냐는 조심스런 관측이 나오고 있다. 실제 증권가에선 직무태만을 이유로 윤리위원회까지 회부한 전례가 없어 이번 징계 여부를 놓고 노사간 대립이 증폭될 것으로 전망된다. 노조측은 이번 징계 수위를 놓고 “노동
위원회에 부당징계구제신청을 내고 법적 대응할 것”이라고 밝혔다.  

대립의 초점은 직무태만으로 징계를 내린 것인지 아니면 저성과란 이유로 징계가 내린 것인지에 대한 여부다. 직무태만이 이유로 징계가 내려졌다면 구조조정과는 별개 사항으로 볼 수 있지만 저성과자란 이유로 징계가 내려진다면 차후 저성과자 꼬리표가 붙어 정리해고 수순을 밟는 빌미가 될 수 있다는 우려다.

업계선 정부에서도 성과연봉제가 지속적인 저성과자에 대해 퇴출 압박 카드로 사용되고 있어 기업 현장에서 저성과자도 이와 무관치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노조는 이번 사측에 결정에 항의해 본사 앞에서 농성 시위를 이어가고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