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언론자유도, '부분적 언론 자유국'으로 평가돼
한국 언론자유도, '부분적 언론 자유국'으로 평가돼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프리덤하우스, 일본과 대만은 언론자유국으로 평가
▲ 이웃국가들인 일본과 대만이 언론 자유국에 분류된것을 감안하면 좀 더 분발이 필요한것으로 보인다.ⓒ프리덤하우스 공식홈페이지
[시사포커스 / 강민욱 기자]우리나라가 언론자유도 점수에 있어서 세계 199개국 중 66위를 차지해 언론이 '부분적으로 자유로운 나라'로 평가됐다.

27일(현지시간) 인권단체인 프리덤하우스가 내놓은 '2016 언론자유 보고서'를 살펴보면 한국의 언론자유 점수(지수)는 33점을 기록했다. 이같은 점수는 조사대상인 199개 국가 중 66위에 해당하는 점수다. 한국은 2013년 해당 보고서에서 31점, 2014년 32점, 작년에는 33점을 기록했다.
 
이러한 프리덤하우스의 언론자유 점수는 0에 근접할수록 언론의 자유가 보장된 국가임을 의미한다. 우리나라의 현 언론자유 점수는 ‘부분적 언론 자유국’에 해당되는 점수다.
 
보고서에서 가장 언론 자유도가 높은 나라는 노르웨이(9점)로 나타났고 벨기에 · 핀란드 · 네덜란드 · 스웨덴이 11점으로 공동 2위를 차지했다.
 
그밖에 미국(28위), 영국(41위), 일본(44위), 프랑스(51위) 등이 '언론 자유국'에 포함됐고, 러시아(176위)와 중국(186위)은 언론이 자유롭지 못한 나라로 조사됐다.
 
또한 프리덤하우스는 부패 및 조직범죄, 개발사업자, 고위공직자에 대한 명예훼손 처벌, 종교단체, 영토분쟁 등을 언론인들이 다루기 가장 어렵고 위험한 소재라고 밝혔다.
 
한편 세간에서는 일본과 타이완(대만)도 언론이 자유로운 나라로서 보고서에 평가돼있는 것을 감안한다면 우리나라의 언론자유 · 표현자유 등을 정부가 좀 더 보장하고 환경이 개선돼야 한다는 견해도 나온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