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교문화권의 핵심가치 忠'孝'··· 희석되고 있는 증거

8일, 한국여성정책연구원의 '2015 한국의 성(性)인지 통계' 자료에 의하면 자식의 부모 부양에 관한 의견을 묻는 설문에서 '부모 스스로 해결해야 한다'는 대답이 2002년 9.6%(15세 이상기준)에서 2014년에는 16.6%(13세 이상기준)로 2배 가까이 증가했다.
반면 '가족 및 정부, 공공부문이 같이 부양해야 한다'라는 대답이 18.2%에서 47.3%로 크게 증가한 것으로 드러났다. '정부가 부양(책임)해야 한다'는 1.3%에서 4.4%로 소폭 늘었다.
눈에 띄는 점은 '가족이 부양해야 한다'는 응답이 70.7%에서 31.7%로 줄어들었다.
또한 가족 안에서 부모 부양책임에 대한 생각도 달라졌다. '장남 또는 며느리'라는 응답이 15.1%에서 6.2%로 줄어들고 '모든 자녀'가 부양책임이 있다는 응답이 19.5%에서 75.4%로 대폭 늘어났다.
이 같은 통계는 저성장과 인플레이션이 함께 오는 경제구조 및 물가가 오름에도 여전한 청년 구직난 그리고 젊은 세대들의 인식변화 등 복합적 원인들이 작용한 수치인 것으로 보인다.
그밖에 이러한 시대상황에 미리 노후를 대비하는 사람들도 많아지고 있었다. 대표적 노후준비 방법으로는 ‘국민연금’(71.7% 복수응답)이 1위를 차지해 가장 많았고 뒤이어 ‘예금·적금·저축성격 보험’(42.0%), '사기업(사적) 연금'(21.9%) 순이었다.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