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습기살균제 사망자, 상상이상으로 많다.
가습기살균제 사망자, 상상이상으로 많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2001년부터 무려 10년 이상 유통, 당초 알려진 78명보다 상상이상으로 많아
▲ 새누리당 권성동 의원,사진/ 원명국 기자

 [시사포커스/ 윤성필 기자] 가습기 살균제 파문이 걷잡을 수 없이 확산 될 조짐이다. 문제의 가습기살균제가 2001년부터 무려 10년 이상 유통된 것으로 확인되자, 당초 알려진 78명의 사망자보다 훨씬 많을 것으로 보여 파문이 예상된다.

새누리당 권성동 의원이 12일 국회에서 기자회견 발표문은 이런 논란에 불을 붙여 기름을 부은 격이다. 권 의원은 “가습기 살균제 피해문제는 20여년전 시작됐고 10년 전부터 본격적으로 피해가 발생한 사안이다” 고 포문을 열었다.

권 의원은 “김대중 정부 때인 2001년 옥시가 독성물질인 PHMG(폴리헥사메틸렌구아니딘)로 제품을 생산해 판매했고, 2006년 원인미상 호흡 부전증 어린이 환자가 발생했지만 원인 규명에 실패했다”며 가습기살균제 생산·유통 책임을 DJ-노무현 정부로 돌렸다.

이어 권 의원은 “2011년 이명박 정부는 역학조사를 통해 가습기살균제 피해를 확인하고 제품을 수거했다” 며 “특히 2011년 본격적인 역학 조사가 이뤄지기 전까지 민간 연구진들도 감염병 외에 다른 환경성 요인을 전혀 의심하지 않았다” 고 설명했다.

이날 권 의원이 기자회견을 한 배경은 가습기살균제 사태를 현 정부 책임으로 돌리려는 야당의 정치공세에 맞서 반격을 시도한 자리이지만, 내용자체는 상당이 팩트(fact)가 맞아 떨어진다.

◆ 2006년부터 보고된 죽음들

권성동 의원이 기자회견에 말한 “2006년 원인미상 호흡 부전증 어린이 환자가 발생했지만 원인규명에 실패했다” 는 말도 팩트(fact)가 정확하게 맞는 말이다.

실제 의료계에선 이미 2006년 초반부터 원인모를 죽음이 보고되고 있었다. 당시 의료계에서는 '이상한 폐렴 환자'가 전국의 대학병원 등에서 줄기차게 발생되었다.

당시 홍수종 서울아산병원 교수는 급성 폐질환 어린이 환자가 고농도 스테로이드 치료에도 숨지는 일이 자주 발생하고, 이런 환자가 계속해서 늘어나자 뭔가 이상하다는 생각을 하게 된다.

그런데 홍 교수가 알고 보니 이건 아산병원만의 문제가 아닌 서울시내 전체 대형병원에서 일어나는 문제였다. 사태가 심상치 않음을 직감한 홍 교수는 다른 대학병원 소아호흡기 전문교수들과 함께 질병관리본부 담당과장 등 관계자를 만나 지금상황을 애기하고 대처방안을 상의 한 적이 있다.

이들이 질병관리본부 직원을 만난 것은 가습기살균제 같은 것은 전혀 생각지 못하고 오히려 전염병 같은 감염을 우려했기 때문에 유행성 병원체를 잡기 위한 역학조사 등을 논의하기 만났다.

하지만 이때 참석한 공무원들이 “좀 더 두고 보자”라는 말로 결론을 내려 더 이상 진척을 보지 못했다. 결국 담당 공무원의 이 같은 결정으로 다른 곳에서는 계속해서 죽음의 행진이 이어져 가고 있었다.
 

◆ 제품이 생산 유통 된지 10년 이후인 2011년에 알게 된 사실

또 앞서 권성동 의원이 기자회견에서 말한 “2011년 역학조사까지만 해도 민간 연구진들도 감염병 외에 다른 환경성 요인을 전혀 의심하지 않았다”는 말도 정확하게 맞는 말이다.

2011년 4월 당시에도 서울아산병원 등 대형병원에서 임산부와 영유아의 원인모를 죽음이 잇따르자, 이것을 조선일보가 처음으로 보도했다.

조선일보 보도가 나간 직후 서울아산병원은 “중환자실에 중증 폐렴 임산부 환자가 늘고 있다”며 공식 적인 역학조사를 촉구했다. 결국 이 문제가 10년 만에 처음으로 바깥으로 공론화 되는 순간이었다.

하지만 이때만 해도 역학조사를 질병관리본부에서 맡았다. 당시에는 이것을 감염성 병균에 의한 전염병으로 봤다. 가습기살균제에 독극물이 있다는 것은 생각도 못했던 것이다.

만일 살균제에 의한 독극물 문제라면 질병관리본부가 아닌 식약청(식품안전의약청)이 역학조사를 했을 것이다. 그만큼 병원도 정부도 아무도 몰랐던 것이다.

▲ 질병관리본부 사진/ 시사포커스 DB

◆ 역학조사에 참가한 똑똑한 사무관 한명이 밝혀낸 엄청난 사실

이 모든 죽음의 원인이 가습기살균제라고 밝혀내는 것도 아주 극적이다. 질병관리본부는 5월초에 역학조사팀을 꾸려 바로 조사에 들어갔다.

당시 의료계와 질병관리본부 등 보건당국은 감염성 병균에 의한 전염병 내지는 유행성 병원체에 의한 유행성 감염을 집중 조사했다. 하지만 1차, 2차에 걸친 정밀조사에도 유행성 병원체를 잡아내지 못했고, 조사는 미궁에 빠지는 듯 했다.

그런데 역학조사팀에 의사출신으로 폐질환 전문가인 사무관 한명이 조사가 진행되는 와중에 “이것은 질병과 관계없는 poison(독)이다” 강력하게 주장하고 나서면서 조사가 급물살을 탔다.

자칫 영원히 미제로 남을 수밖에 없는 사건을 똑똑한 사무관 한명이 파고들어 엄청난 사실을 밝혀낸 것이다

결국 그 해 8월 31일 질병관리본부 권준욱 국장은 “현 단계에서 100% 확정할 수는 없지만, 가습기살균제가 위험요인으로 추정된다”며 중간발표를 하게 된다.

비로소 가습기 문제가 공공의 문제로 튀어나오는 순간이었다. 이 발표로 인해 이 가습기 살균제 문제는 주무관청이 질병관리본부에서 식약청, 환경부, 나아가 지식경제부까지 다른 연관부서로 바뀌게 된다.
 

◆ 10년 동안 원인 모르고 죽은 숫자 합치면 피해자 셀 수 없을 정도로 많아

현재 가습기살균제 피해자가 공식적으로 집계 된 것은 ‘환경보건시민센터’라는 시민단체에서 집계한 영유아 36명을 포함한 78명이 사망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의료계나 학계에서는 이것과 비교 할 수 없을 정도의 사망자와 피해자가 발생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의료계 관계자는 “가습기살균제가 원인이라고 밝혀진 2011년 이전에 이미 무려 10년 동안이나 제품이 퍼지고 유통되었다“면서 ”자기가 왜 죽는지도 모르고 죽은 죽음까지 합치면 엄청난 숫자가 사망했다고 할 수 있다” 며 사건의 심각성을 얘기했다.

또 다른 관계자는 “그나마 피해자로 잡힌 사람은 대형병원에서 조사기간 샘플에 들어간 경우이다” 며 “만일 이전의 10년 동안의 샘플이나, 이것을 전국적으로 따져 들어가면 실제로는 상상이상의 피해자가 발생했다고 할 수 있다” 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