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일 오전 의장 퇴임기자회견 열어

정의화 의장은 이날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접견실에서 2년 동안의 의장직을 마무리하는 퇴임 기자회견을 통해“집무실에 ‘참을 인(忍)’자를 써서 걸어놓고,어떻게든 소통과 타협을 통해 합의를 이끌어내는 새로운 국회의 모습을 보여드리고자 노력했다”면서 “의장으로서 할 수 있는 최대한의 재량권을 발휘해 교섭단체 간 대화와 타협이 가능하도록 최선을 다했다 생각한다”고 자평했다.
이어 정의장은“우리 국회가 삼권분립의 튼튼한 토대 위에 반듯하게 나아가고 상생의 정치, 합의의 정치가 이뤄질 수 있도록 헌법과 법률에 따라 주어진 소임을 다하고자 했다”며 “세월호 참사로 인한 국회의 교착상태를 풀었고, 예산안을 헌법과 법률이 정한 시한 내에 원만히 처리하는 전통을 세웠으며 김영란법, 공무원연금 개혁 등 주요 법안들도 여야 합의로 처리해 나름 성과도 있었다”고 말했다.
또한 정 의장은 20대 국회는 협치와 정치개혁의 중요하다고 역설하며 “낡은 정치질서를 타파하고 새로운 정치질서를 열어나가는 길에 작은 밀알이 되고자 한다”고 말했다.
이어“협치와 연대의 정치개혁, 국민중심의 정치혁신에 동의하는 우리 사회의 훌륭한 분들과 손을 잡고 우리나라 정치에 새로운 희망을 만들 수 있는 ‘빅 텐트’를 함께 펼치겠다”면서 "퇴임 후에도 중도 세력의 ‘빅 텐트’를 펼쳐 새로운 정치질서를 이끌어내는 마중물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정 의장은 새누리당과 정부의 국회법 개정안 반발과 관련 "지금 우리 국민들은 일 잘하는 국회, 정부를 제대로 감독하고 견제하는 국회를 원하고 있다"며 "행정부가 국민의 편에 서서 올바르게 일하라고 만든 법을, '귀찮다'고 '바쁘다'는 이유로 반발하는 것이야말로 민주주의의 원칙을 훼손하는 일이 아닐 수 없다"고 비판했다.
마지막으로 정의장은“그러나 민생과 경제를 살리기 위한 법안들을 제때 처리하지 못한 점과 정쟁의 구도를 끊어내기 위한 정치개혁을 이루지 못한 점,국가 미래를 위한 중장기적 비전을 제시하지 못한 점,한반도 평화와 안정을 위한 남북국회회담을 성사시키지 못한 점 등은 국민들의 사랑과 신뢰를 회복하기에 부족한 점 이었다”고 털어놨다.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