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업해도 전력 수급 문제 없어
산업자원부는 24일 한국전력 산하 5개 발전회사로 구성된 발전산업노조의 파업 가결과 관련, "법과 원칙대로 대응하겠다"고 밝혔다.
산자부는 노조가 쟁의행위 찬반투표를 통해 파업을 가결했지만 파업 시작때까지 중앙노동위원회(이하 '중노위')의 조정도 남아 있어 예의 주시하고 있다고 말했다.
서부.중부.동서.남동.남부발전 등 5개 회사와 노조는 25일 중노위의 조정회의에서 이견 조율에 나설 예정이지만 160여건의 교섭사항 중 타결되지 않은 20여건이 정부 정책과 관련된 것들이어서 타협이 쉽지 않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산자부는 또 노조가 예정대로 28일부터 파업에 돌입하더라도 전력 수급에는 문제가 없다고 강조했다.
산자부 관계자는 "발전설비가 시스템화 돼 있고 간부 등 발전회사의 자체인력으로 부족한 인력을 보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9월 예비전력률이 15~16%에 달해 안정적으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파업이 장기화할 경우에는 발전회사의 퇴직자 등 외부 인력을 충원해 발전소를 정상 가동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발전노조는 ▲발전 5사 통합과 사회공공성 강화 ▲임금가이드라인 철폐 및 제도개선 ▲구조조정 프로그램 철폐 ▲주5일제 시행 ▲부족인력 충원 ▲비정규직 철폐 및 정규직화 등을 요구하고 있다.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