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자체,외국인 관광버스 불법주정차해결 방안 찾기 안간힘
지자체,외국인 관광버스 불법주정차해결 방안 찾기 안간힘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버스주차장 의무적으로 마련해야...목소리 높아
▲ 서울시내 한 대형 매장에 외국인승객들을 태우고 온 버스들이 불법으로 주정차하고 있다. 사진 / 시사포커스 DB
[시사포커스/ 이승재 기자] 해마다 외국인 관광객들의 한국 방문이 늘면서 가장 골칫거리로 떠오르 는 것이 관광버스 주정차문제다.

특히 성수기때는 서울 종로를 비롯해 마포,광화문,명동,여의도 등 특정장소에 위치한 쇼핑센터 방문을 관광코스를 끼워 넣으면서 이로 인한 대형 버스들의 불법 주정차 문제가 가장 문제거리로 등장한다.

문제는 서울과 기타 지역 상권에 버스주차 공간 마련을 하지 않은 채 이들을 끌어모으면서 불법을 자행하고 있다는 것.

현재는 불법 주정차 한 버스에 대해 단속만이 방법이지만 아무리 단속을 해도 주차할 곳이 없는 버스 기사들만 억울할 수밖에 없는 현실이다.

특히 ,불법 주정차시 발생하는 버스의 매연으로 인한 환경문제까지 발생하면서 서울시와 지자체 들은 골머리를 썩고 있다.

이 때문에 각 지자체들은 머리를 맞대고 방안을 마련하려 안간힘을 쓰지만 달리 대책을 마련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대해 해결책으로 대형 백화점이나 면세점 등에 의무적으로 버스 주차장을 마련해야 한다는 시민들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마포구 한 단체관계자는“백화점이나 면세점 등을 새로 건설하는 경우 성남 고속터미널처럼 지하에 의무적으로 관광버스 전용 주차장을 한층 만들게 해야 한다”며 “한개 층에 버스 주차장을 건설한다면 버스 주차가 한결 편해지며 인근 교통정체나 환경적으로도 개선이 가능하다”고 지적했다.

또 다른 의견으로는 특정 명소를 운행하는 순환버스를 운영(시티투어 방식)해야 한다는 주장도 제기 됐다.

경유차량을 제외한 CNG버스와 전기버스,2층버스 등 순화버스를 활용해 관광버스는 특정 주차장에 세워 놓고 관광객들은 이를 이용 명소를 관광한다면  교통문제 환경문제를  개선할 수 있을 것이라는 의견이다. 

현재 국내 여행사들은 외국인관광객들이 들어와도 수지 타산이 맞지 않는다는 이유로 관광버스를 이용 대형백화점이나 면세점 등을 방문,물건을 구매케 하고 있다.

그들이 물건을 산만큼 돌아오는 리베이트를 받기 위해서다.

영업적 목적으로 쇼핑을 일부러 시키는 것도 그들의 한 상술이겠지만 자국민들에게는 피해가 가지 않는 한도내에서의 영업과 주차문제 해결방안 마련이 우선시 해야 될 것으로 보인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