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진석 “박원순, 땜질식 처방 동의 못해…서울메트로 조사할 것”

이는 그동안 야권에서 가습기 살균제 문제 등을 놓고 정부의 책임을 규명하기 위해 국정조사를 추진하는 데 따른 맞대응 성격도 있는 것으로 해석되고 있다.
정진석 원내대표는 이날 오전 국회에서 가진 원내대표단 회의에서 “지난주 구의역 19살 비정규직 청년의 비극 뒤에는 철밥통의 정규직 보호가 숨어있었다”며 “이제 국회가 나서야겠다. 우리 당 정책위 산하에 일자리 특위가 있다. 이번 구의역 사고 원인을 밝혀내겠다”고 공언했다.
정 원내대표는 이어 “이번 사건에 국한하지 않고 서울메트로의 방만한 운영 실태와 하청업체와의 불공정 계약, 메트로 마피아의 특권과 권력에 대해 세밀한 조사를 진행하겠다”고 국정조사를 암시했다.
그러면서 그는 전날 박 시장이 서울메트로 용역 자회사 설립을 전면 백지화하고 직영 전환을 검토하겠다고 긴급 대책을 내놓은 데 대해서도 “과거 구조조정 부분을 직영체제로 간다는 건 공공 부분을 늘리겠다는 것과 맥이 같다”며 “직영화는 근원적 해결은 못 되고 국민 부담만 늘려서 경제를 어렵게 하는 조삼모사식 미봉책으로 땜질식 처방에 우리들은 동의하기 어렵다”고 날선 비판을 가했다.
그는 이어 “문제가 발생하면 문제 근원을 고쳐야지 이렇게 하는 건 해결되는 게 아니다”면서 “서울메트로의 운영 효율화에 대한 세밀한 조사와 이에 따른 반성이 선행되지 않았다”고 일침을 가했다.
김도읍 원내수석부대표 역시 이날 회의가 끝난 뒤 기자들에게 “국정조사하는 쪽으로 생각하고 있다”며 “구조적인 문제에 대해 다룰 것”이라고 밝혀 사실상 국정조사 수순을 밟겠다는 의사를 분명히 했다.
아울러 김명연 원내대변인도 “서울메트로 문제는 지난해 8월인가 감사원에서 구조, 안전 문제를 지적받았는데 무시해버린 것”이라며 “인적구조 문제, 사외이사 감사 이런 사람들이 과거 정치권에서 내려간 문제가 있어 깊이 있게 다뤄야 할 것 같다”고 적극 진상규명에 나설 뜻을 내비쳤다.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