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인 퇴직 연령은 50.9세...공기업>중소기업>대기업 순
직장인 퇴직 연령은 50.9세...공기업>중소기업>대기업 순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잡코리아 자료화면
[시사포커스 / 이선기 기자] 남녀 직장인이 예상하는 본인의 퇴직 연령은 50.9세인 것으로 조사됐다. 

최근 잡코리아가 성인 남녀 직장인 1,405명을 대상으로 ‘체감 퇴직연령’에 대해 조사를 실시한 결과 자신의 퇴직 연령을 평균적으로 50.9세로 답변했다.

특히 여성 직장인들보다 남성 직장인들이 생각하는 퇴직 연령이 다소 길었는데 남성들은 51.7세라고 답한 반면 여성들은 49.9세 즈음에 회사생활을 그만둘 것 같다고 예상했다.

직장인이 체감하는 본인의 퇴직 시기를 근무하고 있는 기업형태별로 분석해 보면, 공기업에 근무하고 있는 직장인들이 체감하고 있는 퇴직연령이 평균 54.8세로 가장 높았으며, 중소기업 50.8세 대기업 48.8세로 대기업 직장인들의 체감 퇴직연령이 가장 낮았다.

직급별로는 회사의 중간관리자 역할을 맡고 있는 경우가 많은 대리, 과장, 차장급들이 예상하는 퇴직 시기가 타 직급에 비해 빨랐는데 사원급 51.7세, 대리급 49.3세, 과장급 50.2세, 차장급 50.1세, 부장급 51.4세, 이사(임원)급 51.3세를 본인의 퇴직 시기로 예상했다.

또 직장인들 중 66.0%는 현재의 고용상태에 불안감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렇지 않다는 응답은 7.8%로 소수에 불과했다.

또한 정년 때까지 자신이 고용안정성을 보장받을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하고 있는 직장인들도 18.6%로 10명 중 2명에도 못 미쳤으며, 73.0%는 어느 정도 정년이 보장되는 공무원 등으로 직업 전환을 생각해 본 적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