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태조3년 창건' 제주향교 대성전, 보물 제1902호 지정
'조선 태조3년 창건' 제주향교 대성전, 보물 제1902호 지정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제주향교 대성전 / ⓒ 문화재청
[시사포커스 / 이선기 기자] 제주향교 대성전이 보물로 지정됐다.

13일 문화재청은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에 위치한 제주향교 대성전을 국가지정문화재 보물 제1902호로 지정했다.

제주향교 대성전은 1394년 태조 3년  제주 관덕정(보물 제322호)에서 동쪽으로 약 400m 떨어진 곳에서 창건된 것으로 추정되며, 이후 5차례 자리를 옮겨 1827년 순조 27년에 현 위치에 들어섰다.
 
애초 경사지형에 맞추어 ‘홍살문, 외삼문, 명륜당, 대성전, 계성사’로 이어져, 강학공간(명륜당)이 앞쪽에 있고 제향공간(대성전)이 뒤쪽에 자리한 ‘전학후묘’ 배치였으나, 1946년 제주중학교가 들어서면서 영역이 축소되고 명륜당이 대성전 남쪽에 신축돼 현재는 ‘좌묘우학’의 배치를 하고 있다.
 
공자 등 성현의 위패를 모신 제주향교 대성전은 1827년 이건 이후 제자리를 유지하고 있다. 정면 5칸, 측면 4칸의 팔작지붕 건물로 제주 지역의 독특한 건축 요소들이 곳곳에서 확인된다. 
 
▲ 제주향교 대성전 내부 / ⓒ 문화재청

한편 지붕은 양 측면에 삼각형 모양의 합각면이 있는 팔작지붕이지만 경사가 완만하여 합각면의 크기가 작고, 처마에서 추녀 쪽이 치켜 올라간 앙곡과 위에서 내려다 볼 때 추녀 쪽이 빠져나간 안허리곡이 세지 않다. 

그리고 건물이 낮아 전체적으로 지면에 달라붙은 듯하지만, 건물의 규모가 커서 안정적이고 장중한 느낌을 준다. 이러한 특성은 바람이 세고 비가 잦은 제주도의 자연조건에 순응한 결과로 볼 수 있다. 

이는 제주도의 대표적인 유교건축 문화유산인 제주향교 대성전은 이건 이후 현 위치에서 큰 변형 없이 원래의 모습을 유지하고 있으며, 제주도 건축의 특성을 잘 나타내고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