與 ‘당 대표 권한 강화’…집단 지도체제 폐지
與 ‘당 대표 권한 강화’…집단 지도체제 폐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당 대표-최고위원 분리 선출’…오는 8월 9일 전대부터 적용
▲ 새누리당 비상대책위원회는 14일 당 지도체제 개편에 대해 논의한 결과 당 대표 권한을 대폭 강화하는 단일지도체제로 전환하는 데 뜻을 모았다. 사진 / 시사포커스DB
[시사포커스 / 김민규 기자] 새누리당이 14일 당 대표 권한을 대폭 강화하는 단일지도체제로 전면 재편하기로 결정했다.
 
권성동 새누리당 사무총장은 이날 오후 여의도 당사에서 열린 비대위 회의 직후 브리핑을 갖고 “당 대표와 최고위원을 분리해 선출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혀 지난 2004년 이후 12년간 이어온 집단지도체제가 사실상 폐지될 것임을 분명히 했다.
 
권 사무총장은 이를 보여주듯 “대표 최고위원의 명칭은 당 대표로 변경한다”며 “(그동안) 당 대표가 법적, 대외적으로 당 대표를 할 뿐 당무를 총괄하지 못했는데 앞으로 당무를 총괄한다는 규정을 집어넣기로 했다”고 전해 대표 권한이 한층 강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당 대표와 최고위원이 분리 선출됨에 따라 득표 수 순서대로 대표와 최고위원이 정해지던 종전과 달리 당 대표에 출마했다가 낙선할 경우 최고위원직조차 얻을 수 없으며 당 대표는 결선투표 없이 다득표자가 선출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또 당 대표는 1인1표제 방식으로 선출되는 반면 총 4명인 선출직 최고위원은 1인2표제를 통해 선출될 것으로 전해졌다.
 
다만 소수자인 여성을 배려해 4위 득표자 이내에 여성이 없을 경우 여성후보 중 최다득표자를 4명의 선출직 최고위원 중 한 자리에 앉히는 조항을 마련했고, 청년에 대해서도 만 45세 이하 대상 청년 최고위원 투표제를 별도 신설해 선출직 최고위원과는 별개로 당 대표가 지명해왔던 지명직 최고위원 두 자리 중 한 자리를 투표로 선출된 청년에 배정키로 했다.
 
권 사무총장은 최고위원 수에 대해선 “당 대표 1명, 선출직 최고위원 4명, 청년 최고위원 1명, 정책위의장 2명, 지명직 최고위원 1명 등 최고위원은 9명”이라고 밝혀 현행 수준을 그대로 유지할 것으로 알려졌으며 최고위 회의 역시 기존 그대로 운영할 것이라 강조했다.
 
이번 결정과 관련해 권 사무총장은 “당 지도체제 개편안에 관해 혁신비대위에서 의견이 모아진 것”이라며 “의원총회에 보고하고 거기에서 의견을 들은 후 다음 번 회의에서 최종 의결할 예정”이라고 말했는데, 변경된 안대로 확정된다면 오는 8월 9일로 예정된 전당대회부터 적용될 방침이다.
 
당초 이날 비대위에선 조직적인 당원 동원력이 뛰어난 친박계가 일반인들의 참여율을 어떻게든 낮추기 위해 올림픽 기간에 전대를 열도록 일정을 잡았다는 비박계 일각의 주장에 따라 전대 연기 가능성도 논의했으나 끝내 이를 일축하고 예정된 대로 8월 9일에 치르는 것으로 확정했다.
 
한편 ‘단일지도체제’로 전환되는 이번 지도체제 개편안에 대해 당내 다수를 차지한 친박계는 반색할 것으로 예상되나 수세에 몰린 비박계는 한층 더 위축될 것으로 전망된다.
 
앞서 새누리당이 확보한 상임위 중 기재위원장직을 놓고 표 대결에 들어간 결과를 봐도 당초 2파전 양상으로 예상됐던 유승민계의 이혜훈 의원과 무계파인 이종구 의원을 제치고 전혀 생각지 못했던 조경태 의원이 친박계의 몰표로 당선됐다는 점에서 향후에도 친박계가 비박계 견제를 목표로 표 대결에 임할 경우 전당대회 역시 이와 유사한 결과가 나올 것으로 점쳐진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