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종인·안철수·박지원 등 “남북대화 통로 유지해야”

김종인 더불어민주당 비대위 대표는 이날 오전 경기도 파주시 임진각 전망대에서 비대위를 열고 “6·15 16주년을 맞아 우리가 다시 한 번 남북관계 변화를 촉구할 획기적 계기를 만들어야 한다”며 “현재 상황에서 국제사회의 비핵화를 위한 공조에는 동참해도 영원히 남북관계와 대화를 현재처럼 방치할지를 다시 생각할 때”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김 대표는 이어 “북한사회에 대한 인도적 지원을 위해서라도 남북대화가 절실하다는 것을 느낀다”며 “동북아 평화를 유지하고 미래를 위해서라도 우리 정부가 비핵화를 위한 국제사회 제재는 해도 어떤 경로로든지 남북대화를 유지할 통로를 유지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또 그는 6·15남북공동선언에 대해선 “돌이켜보면 당시 김대중 대통령의 고뇌 어린 결단이 아니었나 생각한다”며 “그때까지 남북관계의 족적이 없다가 김 대통령의 결단에 의해 북한 사회의 커다란 구멍을 만들었다고 본다”고 높이 평가했다.
국민의당 역시 이날 더민주와 비슷한 입장을 내놨는데 안철수 상임공동대표는 이날 오전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를 통해 “통일을 준비한다면 북한에 대해 치밀하게 연구해야 한다”며 “북한의 제재 국면 이후 교류가 시작될 땐 적극적으로 경제·민간·문화의 교률를 통해 (남북한) 간극을 좁히는 노력이 절실하다”고 주장했다.
또 안 대표는 문정인 연세대 정치외교학과 교수의 지난주 강연 내용을 언급한 뒤 “문 교수는 강연에서 북한과 대화의 통로를 여는 게 중요한데, 미국도 중국도 아닌 우리 정부가 주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며 “강대국 손에 우리 운명을 맡길 게 아니라 우리가 주도적으로 다른 나라를 설득해 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같은 당 박지원 원내대표도 이 자리에서 대북정책 기조와 관련, “엊그제 박 대통령 국정연설에선 더 강경한 방향으로 갔다”며 “남북관계 개선을 위해서도 국민의당으로 정권교체가 이뤄져야 한다”고 입장을 내놨다.
그러면서 박 원내대표는 “청와대에서 열린 지난 5·13회동에서도 제가 남북관계 개선을 위해 대통령의 말씀을 요구했지만 워낙 강경했다”며 “아직 박 대통령 임기는 20여 개월 남았다. 박 대통령은 남북관계 개선을 위해 할 일이 많다”고 정책 전환을 요구했다.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