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8월중 제1차 협상회의 개최 예정

지난 18일 인도 뉴델리에서 개최된 제2차 한-인도 CEPA 장관급 공동위에서 산업통상자원부 주형환 장관은 2011년 8월 발효한 일-인도 CEPA 보다 한-인도 CEPA가 일찍 발효됐음에도 인도의 對日 양허수준이 對韓 양허수준보다 높게 합의돼 상대적으로 불리했던 철강·전기전자·자동차부품·석유화학 분야 일부품목 양허개선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2010년 1월 발효한 한-인도 CEPA는 그간 한국의 對인도 수출과 양국 교역 확대에 상당부분 기여해 왔으나 우리나라가 체결한 여타 FTA와 비교시 낮은 자유화율, 엄격한 원산지 기준 등으로 개선협상 필요성이 지속적으로 제기됐다.
양국 장관은 향후 한-인도 CEPA 개선협상을 포괄적이고 상호 호혜적 방향으로 추진하자는데 인식을 같이 하고, 금년 8월중 제1차 협상회의를 개최할 예정이다.
인도는 13억 인구 중 35세 이하 인구가 9억을 차지할 정도로 노동력이 풍부하고, 20114년 이후 7% 이상 높은 성장을 지속하고 있으므로 구매력도 지속 증가하고 있다.
특히, 제조업 활성화를 목표로 한 Make in India를 필두로 내수위주 성장을 지속하고 있어 글로벌 경기침체에도 영향을 가장 적게 받고 있다. 이에 CEPA 개선협상 완료시 핵심 교역파트너로 부상할 것으로 보여 양국 장관은 한-인도간 교역규모가 양국간 협력 잠재력에 비해 낮은 수준이라는데 공감하고, 교역·투자 확대의 기반이 되는 CEPA 개선협상을 가급적 2017년 말까지 타결한다는 방침이다.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