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섭단체 연설서 신공항 백지화 관련 ‘朴 대통령’ 입장 표명도 요구

안 대표는 이날 오전 국회 본회의장에서 가진 교섭단체 대표연설을 통해 “정치·경제·법조·교육·언론·체육, 심지어 문화예술계에도 기득권의 뿌리는 단단하다. 관피아에서 메피아까지 기득권 체제의 유착관계는 강력하다”며 “국민의당은 이러한 기득권들과 싸우겠다. 격차 해소를 목표로 하겠다”고 선언했다.
그는 “기득권이 만들고 제도화한 것이 격차”라며 “격차를 해소하지 못하면 우리 공동체의 안녕과 내일을 장담할 수 없다”고 절박하게 호소했다.
그러면서 안 대표는 공공과 민간, 재벌대기업과 하청업체, 기성세대와 미래세대 간 격차 해소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는데, 이 과정에서 그는 “국회 차원에서 격차해소를 위한 20대 국회의 로드맵이 필요하다”며 “상임위별로도 마련하고 국회의장이 앞장서서 전체 국회 차원에서도 마련할 것을 제안한다”고 밝혔다.
이에 그치지 않고 그는 “고위공직자수사처를 포함한 제도적 해결책을 제시하겠다”면서 “소수가 권력과 부를 독점하는 시대를 끝내야 한다”고 거듭 강조했다.
또 안 대표는 복지정책에 대해서도 자신의 견해를 피력했는데 “한국형 복지국가로 가기 위한 논의 테이블이 필요하다”며 “어느 분야에 어느 정도로 복지를 늘려가야 하며 그러기 위해 누가 얼마나 부담할 것인지 공개적으로 토론하고 사회적 공론과 합의의 과정을 만들어가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이어 “이제는 어렵다고 해서 (복지 논의를) 피할 수는 없는 일”이라며 “국회가 아니면 이 어려운 일을 맡을 곳은 대한민국 어디에도 없다. 20대 국회가 책임감을 갖고 ‘복지수준과 조세부담수준’을 다뤄야 한다”고 한층 목소리를 높였는데, 그 방법으로는 “‘저부담-저복지’에서 ‘중부담-중복지’로 가야 한다”고 제시했다.
아울러 안 대표는 미래일자리특위를 설치해야 한다고 주장하기도 했는데 “미래일자리특위는 우리의 과학기술 역량을 어떻게 축적해야 하며 교육을 어떻게 바꿔야 하며 산업 부분과 노동 부분에서는 어떠한 구조 개혁이 필요한지를 논의하는 장”이라며 “4차 산업혁명의 시대에 3대 혁명을 추진하기 위해 미래일자리특위가 필요하다”고 힘주어 말했다.
이밖에 그는 전날 발표된 영남권 신공항 백지화에 대해서도 입장을 내놨는데 “박근혜 대통령은 2012년 대선공약으로 신공항 선정을 다시 추진했지만 결국 기존 공항 확장으로 결론 나면서 두 지역 간 분열과 갈등만을 초래했다”며 “큰 갈등과 진통을 유발한 정부의 책임이 매우 크며 정부 정책 결정 과정에 대한 문제점에 대해선 국회에서 짚고 넘어가야 한다. 대통령의 입장 표명이 필요하다”고 박 대통령을 압박했다.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