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3일부터 이틀 간 1만 4천여 어린이집 회원을 보유한 한국민간어린이집연합이 집단 휴원에 들어간다. 이들의 휴원은 내달 시행되는 정부의 맞춤형 보육제에 반발한 집단행동으로 이번 휴원에 참여하는 어린이집은 1만여 곳에 달할 것으로 보인다.
협회 측은 “피해를 최소화 하기 위해 완전히 문을 닫는 대신 어린이집 운영을 10~20%대로 축소 운영하겠다”고 밝혔다. 또 이를 위해 “이미 학부모들에게 협조를 요청하는 안내장을 발송한 상태”라고 전했다.
앞서 정부는 48개월 미만의 영유아를 대상으로 아이와 부모의 필요에 따라 종일반과 맞춤반을 이용하도록 한 ‘맞춤형 보육’ 제도를 내달부터 운영키로 했다.
하지만 이들은 맞춤반 경우 종일반과 달리 운영 시간이 적고 보육료 지원이 종일반의 80% 수준인 점에 불만을 품고 운영난이 심각해질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일단 정부는 이들의 집단 행동에 엄정하게 대처하겠다는 입장이다.
보건복지부 측은 “이러한 단체의 행동은 어린이집을 이용할 수밖에 없는 부모님들께 큰 불편을 끼치는 것”이라며 “정부는 부모님과 영유아 보육을 외면한 어린이집의 불법적인 행위에 대해서는 법과 원칙에 따라 엄정하게 대처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다만 국내 최대 어린이집 단체인 한국어린이집총연합과 한국가정어린이집연합은 오늘 집단 휴원에 참여하지 않는 것으로 알려졌는데 일단 맞춤형 보육 종일반 신청이 끝난 뒤에도 정부의 정책이 바뀌지 않는다면 집단 휴원에 나서겠다고 밝혀 갈등의 불씨는 남아 있다.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