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포농수산물시장 운영권, 서울시 VS 마포구·상인 갈등 고조
마포농수산물시장 운영권, 서울시 VS 마포구·상인 갈등 고조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서울시 위탁체제에서 환수키로...상인들,시의 억지 횡포
▲ 1998년 개장해 서울 서북권 최대 농산물시장으로 자리 잡은 마포농수산물시장의 운영권 환수를 둘러싸고 서울시와 마포구·시장 상인들이 극심한 갈등을 빚고 있다. 사진 / 시사포커스 DB
[시사포커스 / 이승재 기자] 1998년 개장해 서울 서북권 최대 농산물시장으로 자리 잡은 마포농수산물시장의 운영권 환수를 둘러싸고 서울시와 마포구·시장 상인들이 극심한 갈등을 빚고 있다.

시장이 개장하면서 마포구가 갖고 있던 시장 운영권을 오는 10월 말, 서울시가 환수에 나섰기 때문이다.

서울시는 지난 17일 오후, 마포시설관리공단 2층에서 마포농수산물시장 환수관련 상인설명회를 개최했다.

이날 설명에 나선 서울시 관계자는 “마포농수산물시장의 경쟁력 향상을 위해 마포구에 위탁한 운영권을 올해 10월까지 환수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어, “시장 건물의 안전등급이 C등급으로 낙후된 데다, 점포마다 임차료 차이가 크게 나는 등 운영 과정의 여러 문제도 있다”며 “운영 방식을 바꿔 시장을 활성화하고 장기적으로 시설 현대화도 추진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서울시가 농수산물시장을 환수하면 서울시농수산식품공사가 운영권을 갖게 된다.

이날, 서울시 농수산식품공사 관계자는 “마포농수산물시장을 서울시에서 운영하면 가락 시장처럼 체계적이고 안정적인 시장으로 변모 할 수 있다” 면서 “오락 가락하는 임대료 문제 해결과 함께 현대화된 시장으로 변모하고 상인들도 많은 혜택을 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상인들은 이에 대해 “서울시가 억지 횡포를 부리고 있다” 며 반발하고 있다.

상인들은 “서울시가 운영권을 환수하면 지금처럼 소매시장이 아닌 도매시장으로 바뀔 것” 이라면서 “가락시장처럼 도매인들이 시장에 유입돼 도·소매 영업을 하게 되면 상대적으로 가격 경쟁력이 부족한 기존 소매상인들은 사실상 장사를 할 수 없게 된다”고 반발했다.

수산물코너를 운영 중인 이모 사장은“농수산식품공사 운영하는 가락시장에서 15년 정도 운영을 해봐서 그 내막을 잘 알고 있다”면서 “만일 공사가 운영권를 쥐게 될 경우 상인들은 공사의 횡포에 자진해서 시장을 떠나게 될 것”이라고 비난했다.

이어 그는 “지금 시장의 보증금은 개장 때와 비슷한 평당 500만원선이지만 만일 공사가 책정한다면 평당 2천만원이상을 홋가하게 될 것이므로 10평짜리 가게가 지금은 5천만원 정도 보증금을 내고 있지만 앞으로는 2억 이상의 보증금을 내야 하고 월세도 그에 따라 대폭 상승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마포구 관계자는 “서울시는 운영권 환수 후의 시장 운영계획조차 제대로 공개하지 않고 있다”며 “주민 청원을 비롯해 운영권을 빼앗기지 않기 위한 모든 조치를 검토할 것”이라고 말했다.

마포농수산물시장은 1978년부터 15년간 운영된 난지도쓰레기매립장으로 인한 피해 보상 차원에서 1998년 서울시가 설립하고 마포구에 유상으로 운영권을 부여했다.

마포구는 지금까지 2년마다 재계약을 맺고 시장을 운영했다. 마포농수산물시장은 대지 3만3888m², 건물 연면적 1만7319m²에 점포 150여 개가 있는 대형 전통시장이다.

18년을 운영해온 마포농수산물 시장에 대한 운영권에 대해 서울시와 마포구,상인들 간 첨예한 대립관계를 펼치면서 시설 현대화 사업을 놓고 분쟁이 벌어진 가락시장, 노량진수산시장에 이어 또다시 ‘시장 갈등’을 빚고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