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안해안, '여름철새와 나그네새의 주요 이동경로 부곽'
태안해안, '여름철새와 나그네새의 주요 이동경로 부곽'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러시아 연해주에서 가락지가 부착되어 태안해안국립공원 학암포 일대에서 포획된 숲새 / ⓒ국립공원관리공단
[시사포커스 / 이선기 기자] 태안국립공원에서 러시아 ‘숲새’와 태국의 ‘쇠개개비’가 발견됐다.

4일 국립공원관리공단은 태안해안국립공원 학암포에서 조류 가락지부착 조사를 진행하던 중, 러시아 연해주 지방에서 날아온 ‘숲새’와 태국 라용 지방의 만나이섬에서 날아온 ‘쇠개개비’를 확인했다고 밝혔다.

이번에 발견된 숲새는 러시아의 버드 링잉 센터가 지난 2013년 8월 24일 연해주 지방의 프라바야리토브카강 부근에서 가락지를 부착한 개체로 약 2년 8개월이 지난 4월 30일 약 862km 떨어진 태안해안 학암포에서 발견됐다.

발견된 숲새는 최소 4년 이상 된 어미 새로 추정되며, 2013년 러시아에서 방사된 이후 동남아지역에서 월동을 한 후, 번식을 위해 북상하던 중 태안해안에서 발견된 것으로 보인다. 

숲새는 대만, 중국 동남부, 미얀마에서 월동하고 우리나라와 중국 북동부, 사할린 남부, 쿠릴열도 남부, 일본에서 번식하는 여름철새다. 

이번 발견은 태안해안국립공원 지역이 중국 남부 또는 동남아시아 등의 월동지로부터 러시아, 일본, 국내 번식지로 북상하는 숲새의 중요한 이동경로임이 확인된 첫 사례다.

또한 지난 6월 2일, 태국 라용 지방의 만나이섬에서 가락지를 부착한 ‘쇠개개비’도 3,636km 떨어진 태안 학암포에서 발견됐다. 이는 지난 5월 태국의 공원청에서 가락지를 부착한 개체로, 한 달 만이다.

이로서 철새연구센터는 태국의 조류보호협회에 확인 작업을 거친 후 ‘쇠개개비’의 이동경로가 태국으로부터 확인된 첫 기록으로서 의미가 있다고 밝혔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