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7일 보건복지부는 올해 상반기 최초로 보건복지부와 지방자치단체가 사회복지법인 및 시설에 대한 특별 합동조사를 실시해 보조금 부당집행 등 66건을 적발했다고 밝혔다.
사회복지법인 8개소 및 법인산하 28개 시설을 대상으로 특별 합동조사를 실시한 결과, 정관 등기변경 불이행, 시설운영위원회 운영 미흡 등 법인, 시설 운영에 잘못된 사례가 21건(32%), 공공요금 지출 부적정, 수당 부당집행 등 회계규칙 위반 사례가 18건(27%)으로 나타났다.
또 인건비 과다 지급 등 종사자 관리를 소홀한 사례가 13건(20%), 후원금 집행 등을 잘못한 사례가 9건(14%) 등 총 66건이 적발됐다.
이에 따라 보건복지부는 위 적발된 건에 대해 보조금 환수 13건(1억 2,600여 만원), 법인, 시설회계 등 반환 21건(2억 6,100여만원), 행정처분 7건, 과태료 2건, 기타 법인 기본재산 편입 외 38건 등 총 81건을 해당 자자체에 통보하고 신속하게 조치해 줄 것을 요구했다.
적발된 유형으로는 보조금 환수 13건의 경우 시설 종사자 채용 전 경력을 잘못 인정해 인건비가 과다하게 지급된 사례가 6건, 건강보험, 국민연금 등 4대 보험료를 과다 징수해 반납하지 않은 사례가 3건이었다.
또 법인 및 시설회계 등 반환 21건의 경우 주로 법인에서 산하시설의 시설운영비 예산을 임의적으로 사용한 사례가 2건, 후원금을 부당하게 사용한 사례가 3건, 노인장기요양 급여비용을 부당하게 청구한 사례가 2건 등으로 나타났다.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